[출처=현대모비스]
[출처=현대모비스]

현대모비스가 탈계열사 전략이 들어맞으며 실적 호조세를 이어가고 있다. 올해 1분기에만 글로벌 완성차 고객사를 대상으로 20억 달러(약 2조8000억)의 수주를 올리며 실적을 이끌었다는 분석이다. 

25일 현대모비스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전년동기대비 43.1% 증가한 7767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액 14조7520억원, 당기순이익은 1조317억원으로 같은 기간 각각 6.4%, 19.6% 늘었다.

이번 실적은 모듈과 핵심부품 사업 성장세가 이어진데 따른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미국 등 해외 수주가 활발히 이뤄지면서 실적을 견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사업 부문별로 모듈과 핵심부품에서 11조4743억원, A/S사업 부문에서 3조2778억원의 매출을 각각 기록했다.

모듈과 핵심부품 매출은 전장 중심 고부가가치 핵심 부품 확대 적용 등의 영향으로 지난해 1분기보다 4.9% 증가했다. A/S 분야 매출도 글로벌 수요 강세 지속과 우호적 환율 등의 영향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1.8% 늘었다.

영업이익은 전동화 사업의 고정비 부담 등이 증가했지만 전장부품 중심 고부가가치 핵심 부품 공급이 주효했다.

또 A/S 사업에서 글로벌 수요에 안정적으로 대응하고 여기에 우호적 환율 환경이 더해지면서 큰 폭의 영업이익 증가세를 실현했다. 영업이익 증가세에 힘입어 이익률도 회복세를 나타냈다. 현대모비스의 올 1분기 영업이익률은 5.3%로 지난해 1분기(3.9%)보다 개선됐다.

특히 고객 다변화 전략이 눈에 띈다. 올해 1분기 글로벌 완성차 고객사를 대상으로 20.8억불 규모의 핵심 부품 수주 실적을 올렸다. 이는 올해 전체 해외 수주 목표(74.4억달러)의 30%에 육박하는 규모다. 

올해 1월 세계 최대 규모의 신기술 전시회인 북미 CES 2025를 비롯해 지난 23일 개막한 중국 상하이모터쇼에 잇달아 참가하며 글로벌 완성차 고객사를 대상으로 적극적인 영업 활동을 펼치고 있다.

이를 통해 국가별 매출도 크게 늘어난 상태다. 지역별로 미주지역의 매출액은 4조3453억원, 영업이익은 1402억원을 기록했다.

유럽지역 매출은 2조1377억원, 영업이익은 1570억원을 보엿다. 유럽지역 이익률은 지난해 6.8%에서 7.3%로 증가했다. 여기에 중국의 매출액은 6761억원, 영업이익은 122억원을 달성하며 견조한 수익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다. 

올해 투자규모는 2조4254억원으로 설정했다. 이 가운데 유럽과 북미 전기차 생산거점에 약 9000억원을 집행할 계획이다. 

또한 선도 기술 개발을 통한 미래 경쟁력 확보를 위해 올해 연구개발 분야에 2조원 이상을 투입한다. 올 1분기 현재 국내외 연구개발 인력은 7700여 명으로, 앞으로도 우수 인재를 통한 모빌리티 혁신 기술 확보에 전사적인 역량을 집중할 방침이다.

2027년까지 연평균 8% 이상의 매출 성장과 5~6% 수준의 영업이익률을 달성한다는 목표를 설정하며 지속적으로 시업을 펼치고 있다는 게 회사 측의 설명이다.

오는 2033년에는 부품제조 글로벌 완성차 매출비중 40%의 '글로벌 톱 3' 부품사로 거듭날 계획이다.

현대모비스 관계자는 "앞으로도 우수 인재를 통한 모빌리티 혁신 기술 확보에 전사적인 역량을 집중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