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오른쪽)이 15일 제주 서귀포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5 APEC 통상장관회의'에 참석한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출처=산업부]
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오른쪽)이 15일 제주 서귀포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5 APEC 통상장관회의'에 참석한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출처=산업부]

한미 양국이 오는 주말부터 미국 워싱턴 D.C.에서 2차 관세 협의에 돌입한다. 7월 8일까지 25% 상호관세 유예 시한이 설정된 가운데 협상 막판 미국 측의 구체적 요구가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18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장성길 통상정책국장이 이끄는 대표단은 미국 무역대표부(USTR)와의 기술 협의에 착수하며 6대 의제(원산지·비관세 조치·디지털 교역 등)를 중심으로 조율에 나선다.

산업부는 조기 합의를 목표로 6월 중순 각료급 회담도 병행할 계획이다. 그러나 대선(6월 3일) 이후 협상 라인 교체 가능성과 함께 최종 타결 시점이 7월 8일을 넘길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특히 업계에선 미국 측이 구글 정밀지도 해외 반출, 30개월령 이상 미국산 소고기 수입 허용 등 구체적 양보 요구를 제시할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정부는 이에 대한 대안을 준비해 철강, 자동차 등 25% 품목에 대한 관세 면제를 이끌어내겠다는 방침이다.

안덕근 산업부 장관은 “기한을 넘기면 7월 9일부터 관세가 부과돼 수출 업계 타격이 클 수 있다”며 “최종 합의를 이끌어내기 위해 시한까지 총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