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이노텍 직원이 ‘3세대 5G 통신모듈’을 선보이고 있다. [출처=LG이노텍]
LG이노텍 직원이 ‘3세대 5G 통신모듈’을 선보이고 있다. [출처=LG이노텍]

LG이노텍이 위성 기반 광대역 5G 차량 통신모듈을 세계 최초로 선보이며 차량 통신 시장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했다.

LG이노텍은 광대역 위성통신(NR-NTN, 약 30MHz)을 지원하는 '3세대 5G 통신모듈' 개발에 성공했다고 28일 밝혔다. 

해당 제품은 기존 협대역 위성통신(NB-NTN, 약 0.2MHz)의 한계를 넘어, 언제 어디서든 끊김 없는 초고속·대용량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3세대 5G 통신모듈은 자동차에 탑재돼 기지국과 위성 등 통신 인프라와 실시간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SDV(소프트웨어 정의 차량)와 자율주행 구현을 위한 핵심 부품으로, 자동차가 통신망이 닿지 않는 오지나 재난 상황에서도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기존 제품은 문자 등 저용량 데이터만 처리 가능한 협대역 기반으로, 데이터 속도가 수백kbps에 불과했다. 반면 이번 신제품은 수십Mbps급 전송속도와 수백ms 수준의 짧은 지연시간을 확보해, 영상·음성·이미지 등 고용량 데이터도 실시간 송수신이 가능하다.

LG이노텍은 2005년부터 축적한 차량 통신 기술력을 바탕으로 RF 회로 설계·고효율 안테나 기술·차량 통신 전용 소프트웨어 개발 역량을 이번 제품에 총집결했다. 그간 1세대 차량용 5G 통신모듈, 2세대 5G-V2X 모듈, 디지털키 등을 연이어 출시하며 기술 경쟁력을 입증해왔다.

3세대 5G 통신모듈은 최신 국제이동통신표준화 기구(3GPP)의 5G Release 17 표준을 적용했다. 이 표준은 기존 지상망 중심에서 위성통신 등 비지상망까지 확장된 최초의 국제 규격이다. 이에 따라 다양한 국가와 차종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특히 자율주행 고도화에 있어 위성 기반 정밀 위치 정보 송수신, 실시간 알고리즘 업데이트가 가능해지며 차량 주행 성능과 안전성이 동시에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시장조사업체에 따르면 5G 통신모듈이 탑재된 차량은 2024년 400만대에서 2032년 7,500만대로 증가할 전망이다. 연평균 성장률(CAGR)은 43%에 달한다.

LG이노텍은 오는 2026년 1분기까지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북미·일본 완성차 업체들을 대상으로 한 프로모션을 활발히 전개 중이다.

유병국 전장부품사업부장(전무)은 "차량 통신모듈은 조명과 함께 LG이노텍 전장 사업의 핵심”이라며 “차별화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조 단위 사업으로 육성하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