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의전당에서 공연 관람을 기다리는 관객들의 모습. [출처=한화그룹]
 예술의전당에서 공연 관람을 기다리는 관객들의 모습. [출처=한화그룹]

한화그룹은 '한화클래식 2025'가 지난 6일과 8일 서울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성황리에 마무리됐다고 9일 밝혔다.

올해 공연은 한화클래식의 13번째 무대이자, 프랑스 소프라노 파트리샤 프티봉과 고음악 앙상블 아마릴리스의 첫 내한으로 더욱 특별한 의미를 더했다. 공연은 '프랑스 바로크의 재발견'이라는 호평 속에 깊은 감동과 예술적 성취를 동시에 선사했다.

파트리샤 프티봉은 폭넓은 음역대와 정교한 기교를 겸비한 콜로라투라(Coloratura) 소프라노다. 프랑스 바로크부터 현대 음악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레퍼토리를 소화하는 성악가로, 프랑스 최고 권위의 음악상 '빅투아르 드 라 뮈지크'에서 최고 성악가로 선정된 바 있다.

이번 무대는 '마법사의 불꽃'이라는 제목 아래 프랑스 바로크 오페라 속 여성 캐릭터들을 중심으로 재구성됐다. 메데이아와 키르케라는 신화 속 인물을 중심으로 △사랑에 배신당한 여성들의 분노와 복수를 하나의 극으로 엮어냈고, △사랑∙질투∙복수 같은 인간 본연의 감정을 섬세하게 표현하며 관객들의 몰입을 끌어냈다.

앙상블 아마릴리스의 예술감독 엘로이즈 가이야르는 이번 기획에서 음악성과 서사 구조를 조화롭게 결합해 작품의 완성도를 높였다. 관객들은 공연이 끝난 뒤 뜨거운 환호와 기립박수로 화답했다.

특히 프티봉은 공연의 마지막 앵콜곡으로 우리 민족의 정서를 담은 '아리랑'을 선보였다. 한국어가 처음이라며 관객에게 양해를 구하고 시작한 프티봉의 아리랑은 섬세하고 맑은 목소리로 깊은 울림을 자아냈고 공연장을 찾은 관객들로부터 큰 찬사를 이끌어냈다.

공연을 관람한 첼리스트 이현정은 "프랑스 연주자들이 자국 바로크 음악의 문화적 깊이를 세련되게 표현했다"며 "현악∙목관∙타악기의 유기적 조화와 프티봉의 단아하면서도 강렬한 연기는 아마릴리스 특유의 우아함을 극대화했다"고 평했다. 

음악평론가 장일범 역시 "오랜 기다림 끝에 파트리샤 프티봉의 내한 공연을 직접 관람할 수 있어 영광"이라며 "짧은 시간이었지만 프랑스 오페라의 진수를 경험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이번 공연 중 6일 현충일에는 국가유공자 및 유족을 특별 초청하는 시간도 마련됐다. 한화 측은 음악을 통해 순국선열과 호국영령의 숭고한 희생을 기리며 감사와 존경의 뜻을 전하고자 했다고 밝혔다. 이날 공연을 관람한 한 국가유공자는 "현충일에 음악으로 위로받을 수 있어 감사했고, 소중한 추억이 됐다"고 소감을 전했다.

한화는 2013년부터 ‘한화클래식’을 기획·주최하며 세계적인 고음악 아티스트를 국내에 초청해 왔다. 고음악 대중화에 기여해 온 한화는 앞으로도 지속적인 사회공헌 활동을 통해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이어갈 계획이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