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출처=연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출처=연합]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5일(현지시간) 반도체 관세 부과 시점을 ‘다음 주 중’으로 못 박았다. 철강에 이어 반도체까지 국가안보를 이유로 품목별 고율관세 대상에 포함시키겠다는 뜻을 재확인한 셈이다.

16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미·러 정상회담을 위해 이날 알래스카로 향하는 전용기 안에서 기자들과 만나 “내주와 그 다음주에 철강과 반도체에 관세를 설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철강에는 이미 50% 관세가 적용되고 있다고 언급하며, 이번 조치 역시 무역확장법 232조를 근거로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조항은 특정 품목 수입이 미국 안보를 위협한다고 판단될 경우 대통령이 수입 제한과 관세 부과를 단행할 수 있도록 규정한다. 미 상무부는 현재 반도체가 국가안보를 저해하는지에 대한 조사를 진행 중이며,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은 지난달 27일 ‘2주 내 발표’를 시사한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날 발언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의 회담을 앞둔 시점에서 나왔다. 그는 “ 틴 대통령이 다수의 경제 참모를 대동했다”며 “양국이 일정 부분 진전을 이루면 경제 협력 문제를 논의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푸틴은 1년 전 바이든 행정부 경제에는 관심이 없었지만, 트럼프 경제에는 관심을 보인다”고 주장하며 자동차·인공지능(AI) 등 첨단 공장을 미국에 유치하는 성과를 관세 정책 덕분으로 강조했다.

관세율과 관련해 그는 “미국 내 공장 설립 기회를 주기 위해 초기에는 낮게 설정하겠지만 일정 기간 후에는 대폭 인상할 것”이라며 “미국에 생산거점을 두지 않는 기업은 높은 관세를 부담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