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훈 장관 "자연재난 예측, AI·디지털 기술 활용 기반 마련"

김지성 기자
  • 입력 2025.08.19 10:0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계부처ㆍ전문가 간담회 개최…과기정통부, AI 기반 자연재난 대응 활성화 논의

배경훈 장관은 강남구 도시관제센터에서 지능형 CCTV를 활용한 도시 재난 대응 현황을 점검하고 관계자들을 격려했다. 배 장관은 "기후변화로 자연재난 예측이 어려워지고 피해 규모가 커지는 상황에서 AI가 국민을 지키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AI·디지털 기술 활용 기반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출처=연합]
배경훈 장관은 강남구 도시관제센터에서 지능형 CCTV를 활용한 도시 재난 대응 현황을 점검하고 관계자들을 격려했다. 배 장관은 "기후변화로 자연재난 예측이 어려워지고 피해 규모가 커지는 상황에서 AI가 국민을 지키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AI·디지털 기술 활용 기반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출처=연합]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19일 강남구 도시관제센터를 방문, AI·디지털 기반 자연재난 대응 활성화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과기정통부는 밝혔다. 행정안전부, 환경부 등 관계부처와 산업계·연구계 전문가들이 참석한 이번 간담회에서는 기후변화로 심화되는 자연재난에 대한 AI 기술의 역할이 강조됐다.

최근 폭우, 폭염 등 극한 기상 상황이 빈번해지면서 자연재난의 복합화와 피해 규모 확산이 심각한 상황이다. 과기정통부는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AI 기술을 활용해 기존 재난 대응 체계의 한계를 극복하고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AI는 축적된 재난 데이터와 지리 정보를 통합 분석, 예측하지 못했던 위험을 사전에 파악하고 재난 발생 시 피해 범위와 확산 속도를 신속·정확하게 예측하여 추가 피해를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간담회에 앞서 배경훈 장관은 강남구 도시관제센터에서 지능형 CCTV를 활용한 도시 재난 대응 현황을 점검하고 관계자들을 격려했다. 간담회에서는 AI 개발 단계부터 실제 재난 대응 현장 적용까지 민간 기업과 수요 기관들이 겪은 다양한 사례를 공유하고, AI 활용 확대를 위한 방안이 논의됐다.

쿠도커뮤니케이션, 인텔리빅스, 이지스, 알체라 등 AI 제품·서비스 개발 기업과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 연구기관, 정보통신산업진흥원 등 유관기관이 참석했다.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은 AI·디지털 기반 수해 예방 및 대응 사례로 디지털트윈 기반 도시 침수 대응 시스템과 댐 유역 방류 대비 침수 예측 물 관리 플랫폼 개발 사례를 소개했다. 또한, 민관 협력으로 고도화한 내비게이션을 통한 홍수기 도로 위험 알림 서비스도 소개됐다.

쿠도커뮤니케이션은 AI CCTV 구축·실증 사례를 발표하며, 산사태, 침수 등 재난 상황에서 AI 활용을 위해 AI 모델 학습에 필요한 원본 데이터 활용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토론 시간에는 자연재난 대응 과정에서 AI·디지털 기술 활용 확산 방안에 대한 논의가 이어졌다. 참석자들은 AI 기반 자연재난 대응 확대를 위해 지자체 보유 재난 데이터와 국토 정보 등 고품질 데이터를 기반으로 AI 시스템 개발 연구가 이뤄져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또 개발된 시스템이 현장에서 지속 활용되며 정확도를 높이는 시스템 정착과 함께, 현장 실무 인력의 AI 시스템 활용을 위한 제도적 고민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배경훈 장관은 "기후변화로 자연재난 예측이 어려워지고 피해 규모가 커지는 상황에서 AI가 국민을 지키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AI·디지털 기술 활용 기반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핫 키워드
기사공유
관련기사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