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연합뉴스]
[출처=연합뉴스]

미국 관세 정책이 우리나라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11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통화신용정책보고서'에 따르면, 관세 인상이 없을 경우와 비교해 미국 관세정책은 올해와 내년 우리나라 성장률을 각 0.45%포인트(p), 0.60%p 낮출 것으로 추정했다.

무역 측면에서 미 관세 인상으로 수출 비용이 오르고 미국 내 물가 상승으로 총수요도 줄어들면 대미 수출이 축소된다.

품목 가운데 대(對)미국 수출 비중이 크고 높은 관세율이 적용되는 금속·자동차·기계 등의 타격이 클 것으로 예상됐다.

미국 관세가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압력을 키워 미 통화정책이 더 긴축적으로 운영되면, 국내외 금융 여건 개선이 지연돼 실물 경제에 부정적 상황이 우려된다.

불확실성 경로는 기업, 가계가 미국 관세 상황을 지켜보며 경제 의사 결정을 늦추는 데 따른 투자·소비 위축 현상을 말한다.

각 경로의 올해와 내년 성장률 영향은 △무역 -0.23%p·-0.34%p △금융 -0.09%p·-0.10%p △불확실성 -0.13%p·-0.16%p로 추정됐다.

이번 보고서에서 한은은 "올해 상반기까지는 미국 기업의 재고 축적과 이에 따른 다른 국가의 대미 선(先)수출 효과, 기업의 관세 부담 분담 등으로 관세 정책의 영향이 제한적이었지만 앞으로는 영향이 가시화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대미 철강·자동차부품 수출을 중심으로 영향이 커지고 있고, 자동차 수출 역시 미국 내 자동차 시장 환경 악화로 점차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