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섭 KT 대표(좌), 이훈기 더불어민주당 의원. [출처= 국회방송]
김영섭 KT 대표(좌), 이훈기 더불어민주당 의원. [출처= 국회방송]

KT가 무단 소액결제와 서버 해킹 논란이 불거진 가운데, 올해 발생한 모든 인증 방식 내역에 대한 전수조사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피해 고객에 대한 위약금 면제 가능성도 처음으로 언급하며, 국회 청문회에서 쏟아진 비판 여론을 수습하려는 모습이다.

24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 KT 소액결제 사태 청문회에 출석한 김영섭 KT 대표는 “ARS 중심의 조사에서 벗어나 SMS·PASS 인증까지 포함한 전수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라며 “2025년 1월 1일부터의 내역을 시작점으로 삼아 우선 SMS 인증부터 점검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KT는 6월 1일부터 9월 10일까지 ARS 2267만 건을 조사해 피해 규모를 파악한 바 있으나, 축소 논란이 이어졌다.

피해 고객 보상 문제와 관련해 김 대표는 “피해가 발생한 고객 2만30명에 대해서는 위약금 면제를 적극 검토하고 있다”며 “피해가 없는 고객까지 포함할지는 조사 최종 결과와 피해 내용을 고려해 판단하겠다”고 밝혔다. 정신적 피해 배상에 대한 질문에도 “결과를 보고 검토하겠다”고 답했다.

서버 폐기 논란에 대해서는 책임을 인정했다. 김 대표는 “신중히 하지 못한 잘못이 있다”며 “당시 정보보안실이 사업부와 협의해 폐기를 결정한 것으로 알고 있다. 보안 의식이 부족했고 축소 의심을 받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고 말했다. 이어 “네, 반성한다”며 고개를 숙였다.

청문회에서는 여야를 막론하고 KT의 늑장 신고와 축소·은폐 의혹에 대한 질타가 이어졌다. 여당 의원들은 인증키 유출 가능성과 복제폰 생성 위험성을 집중 추궁했으며, 야당 의원들은 “국민 신뢰를 무너뜨린 책임을 지고 자리에서 물러나야 한다”고 압박했다. 이에 김 대표는 “지금은 사퇴를 말할 때가 아니고 사태 해결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즉답을 피했다.

통신업계에서는 KT의 전수조사 발표와 위약금 면제 검토를 두고 “뒤늦게 나온 사후 대응”이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업계 관계자는 “피해 범위가 전국적으로 확대되는 상황에서 단순한 조사 확대만으로는 신뢰 회복이 어렵다”며 “KT가 구체적인 보상안과 고객 보호 대책을 서둘러 내놓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이날 국회 과방위 청문회는 오후 7시 10분께 종료됐다. 김 대표는 과방위 청문회 종료까지 자리를 지켰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