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카드 해킹 사태…방통위, 개인정보 분리 관리 법안 시행 지연 책임론

김지성 기자
  • 입력 2025.10.01 09:29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해민 의원 "개인정보 보호 제도 공백으로 피해 키웠다" 지적

조국혁신당 이해민 의원은 최근 발생한 롯데카드 개인정보 유출 사고와 관련하여 방송통신위원회(방통위)의 후속 입법 지연이 피해를 키웠다고 지적했다.[출처=ebn-이해민 의원실]
조국혁신당 이해민 의원은 최근 발생한 롯데카드 개인정보 유출 사고와 관련하여 방송통신위원회(방통위)의 후속 입법 지연이 피해를 키웠다고 지적했다.[출처=ebn-이해민 의원실]

조국혁신당 이해민 의원은 최근 발생한 롯데카드 개인정보 유출 사고와 관련하여 방송통신위원회(방통위)의 후속 입법 지연이 피해를 키웠다고 지적했다. 법 개정으로 연계정보(CI)와 주민등록번호의 분리 관리가 의무화되었음에도, 방통위의 제도 시행 지연으로 인해 롯데카드의 해킹 피해가 확대되었다는 주장이다.

1일 이해민 의원실에 따르면 롯데카드는 이번 해킹으로 연계정보와 주민등록번호가 함께 유출되었으며, 이 두 정보를 별도 서버로 분리하여 관리하지 않은 사실이 드러났다. 연계정보는 주민등록번호를 직접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개인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비식별 정보이다.

국회는 2023년 12월 '정보통신망법 일부개정안'을 통과시켜 본인확인기관 및 CI 이용기관에 주민등록번호와 CI를 분리 저장·관리하도록 의무를 부과했다. 해당 법안은 2024년 7월부터 시행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방통위는 법 시행에 맞춰 필요한 후속 조치를 제때 마련하지 못했다. 시행령과 고시는 법 시행 시점보다 1년 이상 늦은 2025년 5월 20일에야 제정되었다. 더욱이, 고시의 연계정보 이용기관 안전조치 규정 일부는 2027년 5월 1일부터 시행되도록 유예되어, 사실상 약 3년간의 제도 공백이 발생했다.

방통위는 위원회 개최 불가 및 사업자 준비 기간 등을 고려한 2년 유예 기간이었다고 해명했으나, 핵심 개인정보 관리에 허점을 남겨 해킹 피해를 확대시켰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게 되었다.

이해민 의원은 법 시행 시점인 2024년 7월 이전에 후속 입법이 준비되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홍일 전 방통위원장의 책임 방기와 이진숙 방통위원장의 공영방송 이사 교체 집중으로 인해 3년간 연계정보와 주민등록번호 분리 조치가 작동하지 못했다고 비판했다. 이로 인해 롯데카드와 같은 기업들은 법적 기준 부재를 이유로 보안 조치를 미뤘고, 그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에게 돌아갔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24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에서 열린 대규모 해킹 사고 청문회에서 이해민 의원이 연계정보와 주민등록번호 분리 관리 미흡이 법 위반이 아니냐고 질의하자, 롯데카드 조좌진 대표는 관련 시행령이 2027년 5월부터 시행된다는 점을 들어 책임을 회피하는 답변을 내놓았다.

이 의원은 "언제든 유사한 해킹 사태가 재발할 수 있는 상황에서 방통위가 사실상 면죄부를 주면서 2027년 5월까지는 연계정보와 주민등록번호를 한 서버에 함께 보관해도 제재할 수 없는 상태가 되었다"고 우려를 표했다. 이에 방통위가 고시 시행을 앞당길 수 있는 실질적인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핫 키워드
기사공유
관련기사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