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스타트업 마인드로직은 자사 생성형 AI 플랫폼 ‘팩트챗(FactChat)’이 서울대 등 국내 19개 대학에 잇따라 도입되며 대학가 AI 인프라 표준으로 부상하고 있다고 28일 밝혔다. [출처=마인드로직]
인공지능 스타트업 마인드로직은 자사 생성형 AI 플랫폼 ‘팩트챗(FactChat)’이 서울대 등 국내 19개 대학에 잇따라 도입되며 대학가 AI 인프라 표준으로 부상하고 있다고 28일 밝혔다. [출처=마인드로직]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마인드로직이 자사의 생성형 인공지능(AI) 플랫폼 '팩트챗(FactChat)'을 서울대를 포함한 국내 19개 주요 대학에 잇따라 공급하며 교육계 AI 혁신을 선도하고 있다.

마인드로직은 '팩트챗'이 대학가를 중심으로 AI 인프라 표준으로 부상하고 있다고 28일 밝혔다. 팩트챗은 대학이나 공공기관 등 조직 구성원이 다 함께 활용할 수 있는 대규모 언어 모델(LLM) 기반 생성형 AI 플랫폼이다.

이 플랫폼의 가장 큰 특징은 해외 유료 구독형 AI 서비스 대비 최대 90% 이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비용 효율성과 관리 편의성 덕분에 팩트챗은 올해 3월 출시 직후 서울대, 서강대, 숭실대 등 주요 대학과 약 100여 곳의 초·중·고등학교로 빠르게 확산됐다.

특히 서울대학교는 팩트챗을 행정 효율성 제고 및 연구 목적으로 적극 활용 중이며, 서강대학교는 시범 운영 3주 만에 탁월한 비용 절감 효과를 확인하고 전교생 대상으로 서비스를 확대했다. 사용자들은 GPT-5, 퍼플렉시티, 제미나이, 클로드 등 최신 언어모델을 용도에 맞게 선택해 24시간 언제든 비용 부담 없이 이용할 수 있다.

마인드로직의 또 다른 AI 서비스 '인포미(Informe)' 역시 대학 및 공공기관에서 주목받고 있다. 인포미는 대학 입시, 학사 문의, 시설 이용 안내 등에 활용되는 다국어 안내 챗봇 서비스다.

단순 메뉴형 응답에 그쳤던 기존 챗봇과 달리, 자연어 기반 대화로 100여 개 언어를 지원해 외국인 학생의 접근성을 높였다. 현재 숙명여대, 서울대 중앙도서관 등 총 22개 대학·기관에 도입돼 운영 효율성을 개선하고 있다.

마인드로직은 향후 팩트챗의 맞춤형 기능을 강화하고 해외 진출을 추진하는 한편, 인포미의 음성 ARS 기능과 지원 언어를 확장할 계획이다.

김진욱 마인드로직 공동대표는 "AI가 교육과 행정의 필수 인프라로 자리 잡게 된 만큼, 각 기관이 합리적인 비용 안에서 효율적으로 최신 언어모델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며 "누구나 AI를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고객이 최고로 만족할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