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규제가 정점을 찍으면서 오피스텔 시장이 이례적인 반사수혜를 받고 있다. 대출·실거주 의무 등 강력한 규제가 아파트에 집중된 가운데, 상대적으로 규제 부담이 적은 오피스텔이 ‘대체 주거지’로 부상하고 있는 흐름이다.

17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10·15 대책 시행일인 지난달 16일부터 말일까지 보름간 서울 오피스텔 거래량은 760건으로, 직전 보름(289건) 대비 2.6배 늘었다. 같은 기간 아파트 거래는 5262건에서 1640건으로 3분의 1 수준으로 줄며 뚜렷한 거래 절벽이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규제의 ‘풍선 효과’가 그대로 나타난 결과라고 진단한다. 오피스텔은 건축법상 준주택으로 분류돼 청약통장, 실거주 요건, 자금조달계획서 제출 의무 등 대부분의 규제를 적용받지 않는다. 세법상 주택으로 취급되지만 청약 대기자 입장에서는 오피스텔을 매입해도 무주택 지위를 유지할 수 있는 점 역시 강점으로 꼽힌다. 여기에 LTV 최대 70% 대출과 DSR 미적용 등 자금 조달 측면에서도 아파트보다 유연해 실수요층 유입을 키웠다는 분석이다.

거래가 몰리면서 가격 흐름도 강세로 돌아섰다. KB부동산 월간 통계에 따르면 10월 서울 오피스텔 매매가격지수는 124.6으로 전달(124.5) 대비 소폭 상승하며 연중 최고치를 기록했다. 서울 오피스텔 임대수익률도 지난달 4.8%를 기록하며 2018년 이후 약 7년 만에 최고 수준을 나타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아파트 대출 규제가 워낙 강화되면서, 오피스텔이 사실상 자금 여력이 부족한 실수요자들의 ‘마지막 사다리’ 역할을 하고 있다”며 “특히 청약 대신 무주택 자격을 유지해야 하는 3040세대가 실거주 대안으로 오피스텔을 선택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같은 분위기 속에서 연말 서울에서 예정된 오피스텔 분양 단지에도 시장의 관심이 모이고 있다.

마포구 합정동에서는 ‘라비움 한강’이 11월 분양을 앞두고 있다. 전용 40~57㎡ 소형 주택 198세대와 전용 66~210㎡ 오피스텔 65실로 총 263세대 규모며, 최고 38층 높이로 한강 조망이 가능한 타입(114~210㎡)도 포함된다. 2·6호선 합정역 초역세권 입지로 생활 인프라 역시 풍부하다.

동대문구 청량리동에서는 ‘청량리역 요진 와이시티’가 공급된다. 전용 43~59㎡ 130세대, 65~84㎡ 오피스텔 25실로 구성되며 1호선, 수인분당선, 경의중앙선, 경춘선, KTX, GTX-B·C 등 다수 노선이 연결되는 교통 요지다.

성동구 도선동에서는 ‘왕십리역 어반홈스’가 들어선다. 왕십리역(2·5호선·수인분당선·경의중앙선) 인근 입지로 A동(전용 35~37㎡) 42실, B동(전용 29~33㎡) 42실로 구성되며, 모든 타입이 2룸 구조에 풀퍼니시드와 IoT 시스템이 적용된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