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LNG해운의 '현대 피스피아(Hyundai Peacepia)'호 모습. [출처=현대LNG해운]
현대LNG해운의 '현대 피스피아(Hyundai Peacepia)'호 모습. [출처=현대LNG해운]

국내 최대 액화가스 운송선사인 현대LNG해운의 해외 매각이 추진되면서 해운업계가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LNG해운의 지분 전량을 보유한 IMM프라이빗에쿼티·IMM인베스트먼트가 인도네시아 시나르마스 그룹 계열사와 주식매매계약(SPA) 체결을 앞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시나르마스그룹은 에너지와 통신, 금융, 부동산, 식품, 헬스케어 등 사업을 영위하는 인도네시아 주요기업 그룹 중 하나다.

해운협회는 이번 매각으로 핵심 에너지 운송역량과 운항 데이터, 장기 운송권 등 국가 전략 자산이 해외로 이전되는 데 대한 우려를 표했다.

현대LNG해운은 LNG 전용선 12척, LPG 전용선 6척 등을 운영하며 한국가스공사와 장기 수송계약을 수행하고 있다.

협회는 "국적 LNG 운송 점유율이 2024년 38.2%에서 2037년 0%까지 떨어질 것으로 전망되는 상황에서 현대LNG해운의 해외 매각은 공급망 안정성에 심각한 위험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협회는 이번 거래가 정부의 해운·에너지 정책 방향과도 부합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국정과제에 '핵심 에너지 운송 국적선 이용률 70% 유지'와 '선박의 해외 매각 방지'를 명시한 바 있다.

해운협회는 "현대LNG해운은 국가 에너지 공급망에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며 " 국가경제 및 에너지 안보 주권 확보를 위해서는 해외 매각이 아닌 국적선사로 남아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