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이노베이션은 노사가 미래 지향적이고 혁신적인 노사 관계를 골자로 하는 2017년 임금 및 단체협약 갱신 교섭(임단협) 잠정 합의안이 가결됐다고 9일 전했다.
지난 8일 늦은 밤까지 진행된 조합원 찬반투표는 73.57%라는 높은 찬성률로 가결됐다.
SK이노베이션 노사는 지난 4월 말 임단협 교성을 시작해 지난달 25일 잠정 합의안을 마련했다. 이번 잠정 합의안 가결에 따른 2017년 임단협 조인식은 오는 12일 SK 서린사옥에서 김준 SK이노베이션 사장, 이정묵 노동조합위원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될 예정이다.
김준 사장은 "노사가 물가에 연동한 임금 상승, 역량·생산성과 생애주기를 고려한 임금체계 및 사회적 상생이라는 의미 있는 노사 관계 모델을 만들어 내 SK는 물론 우리 사회가 한 단계 더 성숙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미래 지향적인 노사 관계가 발전돼 딥 체인지 2.0을 성공에 필요한 획기적인 기틀을 마련하게 됐고 기업가치 30조원를 넘어 50조원, 100조원의 새로운 딥 체인지를 위한 훌륭한 추진동력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특히 SK이노베이션 노사는 국채 최초로 임금인상률에 전년도 한국은행 발표 소비자물가지수(CPI)를 연동되도록 합의했다. 이에 따라 매년 반년~1년 걸리던 교섭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게 됐다.
SK이노베이션 관게자는 "밀고 당기기 식의 소모적인 협상 관행에서 벗어나 발전적 노사 관계로 진화할 수 있는 '한국형 노사 교섭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다는데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방식은 올해부터 적용돼 올해 임금인상률은 전년도 소비자물가지수인 1%로 결정됐다.
SK이노베이션 노사는 이번 임단협에서 회사의 발전이 협력사 및 사회적인 발전에도 기여해야 하다는 데에 합의하고 이를 위한 구체적인 실천 방안으로 기본급의 1%를 사회적 상생을 위한 기부금으로 출연하기로 했다.
SK이노베이션 노사는 올해 3월 주주총회를 통해 개정된 정관에 반영된 '사회적 가치 창출을 통해 사회와 더불어 성장한다'는 경영철학을 이번 임단협에서 구체적으로 실천하기 위해 이 같은 방식에 합의한 것.
구성원이 기본급의 1%를 자발적으로 기부하면 기부액만큼 회사도 매칭 그랜트로 기부금을 정립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오는 10월1일부터 이 제도는 본격적으로 시행된다.
이정묵 노조 위원장은 "이번 임단협은 조합원의 자긍심을 높이고 대기업 노조가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깊이 고민한 결과"라며 "SK이노베이션 노동조합은 앞으로도 회사의 성장이 구성원 및 사회의 행복과 직결되도록 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SK이노베이션 노사가 자발적으로 기부한 기본급 1%와 회사가 적립한 매칭 그랜트는 협력업체 구성원의 복지를 향상시키기 위한 기금과 기존 1인 1후원 계좌를 통해 지원해 오던 소외계층 지원 사회공헌에 활용될 예정이다.
이 외에도 SK이노베이션 노사는 연차에 따라 꾸준하게 상승하는 기존의 임금체계를 근로자의 역량·생산성의 향상도 및 생애주기별 자금 수요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상승폭을 조절하는 임금구조로 개선했다.
이는 임금 최고점을 조정하고 생산성에 따른 합리적 구조로 변경해 근로자 생애 주기에 맞춘 ‘SK식 임금체계’로, SK이노베이션 노사가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임금격차 해소에 앞장서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또 사회양극화와 청년 일자리 창출에 책임감 있게 나서기 위한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도 의미가 있다.
임수길 SK이노베이션 홍보실장은 "이번 찬반 투표에 노조원의 90% 이상이 참여해 73.57%라는 높은 찬성률을 보인 것은 회사와 구성원, 그리고 사회가 공동 발전해야 한다는 새로운 미래에 대한 한 마음 한 뜻이 모아진 결과라는 점에서 의미 깊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