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픽사베이

역대 최대 규모인 580억엔(약 5800억원)의 피해를 낸 일본 최대 가상화폐 거래소 '코인체크' 해킹 사건이 향후 가상통화시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전망이다.

한국은행은 11일 발표한 '해외경제포커스'를 통해 이 같은 시각이 시장에서 우세하다며 "다수의 시장 참가자들은 거래소 및 감독당국에 대한 신뢰 저하로 가상통화시장이 상당 기간 냉각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밝혔다.

일본내 가상통화거래소의 금융청 등록이 의무화됐음에도 불구하고 코인체크의 경우 당국의 심사가 지연되고 있는 상태로 영업하면서 투자자 피해를 초래함에 따라 금융청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이번 해킹이 가상통화 자체의 기술적 문제가 아니라 코인체크의 허술한 가상통화 보관에서 비롯된 것인 만큼 시장의 과도한 반응은 점차 줄어들 것으로 예상하는 시각도 있다.

해킹으로 유출된 코인 NEM(뉴이코노미무브먼트)의 가격은 사건 발생 직후 급락, 코인체크의 피해 보상 방침 발표로 빠르게 회복되기도 했으나 이후 미국의 가상통화 규제 움직임 등으로 다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코인체크는 지난달 28일 피해액의 약 80%에 해당하는 460억엔을 자체 보유 현금 등으로 피해자에게 보상하는 방안을 마련·공표했다. 그러나 시기 등 구체적 방안은 정해지지 않았다.

시장에서는 코인체크의 보유 현금 규모가 불투명한 데다 자본금도 9000만엔에 불과한 점 등을 감안할 때 실제 보상으로 이어지기 어려우며 폐업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일본 금융청은 지난달 29일 가상통화거래소에 최초로 업무개선 명령을 발동하고 이달 2일에는 임점 검사에 나섰다.

사고 원인 규명 및 실효성 있는 시스템 리스크 관리체계 구축에 관한 보고서를 오는 13일까지 제출하도록 하는 한편 임점 검사를 통해 피해자 보호 조치 등을 점검하고 있다.

일본 금융청은 일본내 대표적인 가상통화업계 협의체인 일본블록체인협회(JBA)와 일본가상통화사업자협회(JCBA)를 조속히 통합하는 한편 자율규제를 위한 규정 정비에도 나설 계획이다. 그동안 지연됐던 가상통화업계 자율규제기관 인증도 서두를 것으로 예상된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