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04년 주 5일제를 도입된 이후 14년 만에 대변혁을 예고한 주 52시간 근무시대가 시작됐다.

2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개정 근로기준법 시행에 따라 300인 이상 업체들은 유연 근무제 등을 통해 52시간 이내 근로제도를 적용해야 한다. 정작 정부가 유도한 52시간 이내 근로제도를 통한 일자리 창출은 아직까지 요원한 것으로 보인다.

주요 건설업체들은 주 52시간 근무제에 대비해 선택적 근로 시간제 등 유연근무제도를 도입하며 적응 훈련을 하고 있다.

하지만 10군데가 넘는 대형건설사들과 전화 통화 결과 52시간 근로제 적용에 따른 추가 인원 선발에 나선 업체는 아직 없는 상황이다.

물론 시행해보고 필요하다면 추가 인원을 뽑는다고 이야기를 하는 업체들은 있지만 아직까지 이를 실행한 업체는 없다.

건설업계 입장에서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 시 공사비 상승분을 보전 받을 수 있는 부분이 미흡하기 때문에 섣부르게 추가 인원을 뽑지 못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일부 업체들은 현장 근무 지원을 위해 인력 재배치 등은 고려하고 있다고 밝혀 현장 인력 수급에서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최근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자료에 따르면 37개 공사 현장을 대상으로 시뮬레이션한 결과 근로자의 기존 임금을 삭감하지 않고 주 52시간 근로제를 시행할 경우 직접노무비는 평균 8.9%, 간접노무비는 평균 12.3% 증가할 것으로 추정돼 총공사비는 평균 4.3% 가량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업계 관계자는 “비용 증가와 수익성 감소에 대안이 없는 상황에서 추가 인원이 필요하다고 바로 뽑을 수 있는 업체는 없을 것”이라며 “정부가 원하는데로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으로 추가적인 인력 확대가 이어지려면 건설산업의 특성을 반영하고, 공사비 상승분을 보전하는 과제를 풀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