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이달 첫째 주 서울 아파트값은 지난주 대비 -0.03% 하락했다. 송파(-0.16%)와 강동(-0.10%), 강남(-0.04%) 등 재건축 아파트 하락폭이 컸다. 매도자들이 조금씩 매물 호가를 낮추고 있으나 급등 전 가격까지는 조정되지 않아 관망세는 지속됐다.
서울은 △송파(-0.16%) △강동(-0.10%) △강남(-0.04%) △영등포(-0.03%) △동작(-0.02%) △양천(-0.02%) △노원(-0.01%) △서초(-0.01%) 순으로 하락했다. 송파는 신천동 잠실파크리오가 1500만~2500만원, 신천동 장미1·2차가 2500만원, 잠실동 주공5단지가 500만~2000만원 가량 떨어졌다.
강동은 둔촌동 둔촌주공1·2·4단지가 500만~2000만원 하락했다. 강남은 개포동 개포주공1단지가 3000만원, 주공고층7단지가 1000만~3000만원 떨어졌다. 재건축 단지 위주로 매물호가가 낮춰서 나오고 있지만 급등 전 가격보다 여전히 높아 거래는 실종된 상태다. 영등포는 신길동 래미안에스티움이 3250만원 가량 하락했다.
반면 △마포(0.03%) △구로(0.03%) △중랑(0.02%) △강서(0.02%)는 소폭의 상승세를 유지했다.
신도시(0.00%)와 경기·인천(0.00%)은 지난주와 마찬가지로 보합세를 유지했다. 신도시는 일산(0.04%), 평촌(0.04%)의 매매가격이 오른 반면 분당(-0.01%)은 하락했다. 경기·인천은 △안산(-0.26%) △광명(-0.16%) △시흥(-0.06%) △오산(-0.06%) △이천(-0.06%) △평택(-0.06%) 순으로 하락했다.
전세시장은 본격적인 겨울 비수기로 수요가 크게 줄면서 서울이 0.05% 하락했다. 신도시(-0.04%)와 경기·인천(-0.03%)도 지난주에 이어 하락세가 이어졌다.
서울은 △강동(-0.29%) △서대문(-0.18%) △관악(-0.17%) △송파(-0.16%) △동작(-0.09%) △영등포(-0.07%) △성동(-0.06%) △금천(-0.04%) 순으로 하락했다.
조성근 부동산114 "지난주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에 이어 보유세 인상, 수도권 3기 신도시 지역 발표 등도 예정돼 있어 수도권 아파트 시장은 당분간 약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