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은 13일 서울 종로구 소재 센트로폴리스 빌딩에 구축한 5G 스마트오피스를 공개했다. 5G와 AI등 뉴 ICT 기술과 접목한 스마트오피스가 대중에 공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5G 스마트오피스는 SK텔레콤이 보유한 5G,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보안, 증강현실(AR), 가상현실(VR) 등 첨단기술의 집약체다. 5G를 통해 사람과 공간, 디바이스, 센서 등이 거미줄처럼 엮여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시·공간 제약 없이 업무가 가능한 곳이다.
직원들은 홀로그램 입체영상과 같은 대용량 데이터를 원거리에 있는 파트너에게 바로 전송하거나 실시간으로 협업이 가능하다. 또 회의실 예약 추천, 냉난방 가동 등 단순한 업무는 AI가 대신 처리해준다.
SK텔레콤은 이번에 구축한 5G 스마트오피스를 테스트베드로 운영하면서 클라우드 사업자,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파트너사, 보안솔루션 기업과 사업모델을 구체화하는 방안을 검토할 계획이다.
◆조명, 화장실 문고리에도 IoT 센서…AI로 최적 업무환경 제공
SK텔레콤은 사무실 천장, 주차장, 복도는 물론 지능형 CCTV, AI자판기, 심지어 화장실 문고리에도 IoT 센서를 설치했다.
이 센서를 통해 공간의 온도와 밝기·습도, 기기상태, 이용 빈도 등 각종 정보가 실시간으로 수집돼 서버에 전송된다.
수집된 데이터를 통해 최적의 업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에어컨 등을 제어하고 공간 사용정보를 분석해 사용 빈도가 낮은 공간에 대한 재배치 등 효율적인 공간 관리가 이뤄진다. 이런 과정은 AI 기반 딥러닝(Deep Learning) 기술이 자동으로 처리해준다.
사무실에는 임원실과 고정석, 케이블, 칸막이 등을 찾아 볼 수 없다. 개인이 점유하는 것을 줄이거나 없애고 가상회의실, 라운지, 집중 업무실 등이 대부분이다.
신상규 SK텔레콤 ER그룹장은 "5G 스마트오피스는 단순 공간 혁신이 아니라 5G와 ICT가 '애자일(Agile)' 방식과 결합해 조직의 유연성을 극대화하고 업무생산성과 워라밸을 동시에 높일 수 있는 솔루션"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SK텔레콤은 5G와 AI 등 New ICT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오피스 솔루션 4종을 공개했다.
'5G Walking-through시스템'은 영상분석 기술과 AI의 딥러닝 기술을 통해 카메라가 얼굴을 인식, 출입증이나 지문인식 없이 출입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향후 AI 카메라를 활용한 감성분석을 통해 직원 케어 서비스도 가능해진다. 화난 표정의 직원에게 햇볕 드는 좌석을 추천하거나 달콤한 커피를 마시며 휴식을 취하도록 제안하는 식이다.
'5G VDI 도킹 시스템'은 개인 노트북이나 PC 없이도 도킹 패드에 스마트폰만 꽂으면 가상 데스크톱 환경(VDI)과 즉시 연동돼 업무를 볼 수 있는 시스템이다.
'T 리얼 텔레프리즌스'는 가상과 현실을 넘나들 수 있는 혼합현실(MR, Mixed Reality) 기술이다. VR과 AR을 융합한 서비스다.
원거리에 있는 회의 참가자들이 동시 접속해 실제 같은 방에 모여 있는 것처럼 느낄 수 있다. AR 글라스를 통해 가상공간에서 대용량 영상자료를 함께 보거나 3D 설계도면을 펼쳐서 회의를 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마지막으로 '5G 카페테리아'에 가면 AI무인자판기, 바리스타 로봇 등이 있다. AI무인자판기는 영상분석 기술을 통해 자판기가 직원을 알아보고 음료를 꺼내면 자동으로 정산된다.
최낙훈 SK텔레콤 5GX IoT·Data그룹장은 "5G스마트오피스가 확대되면 시장 변화에 기민하게 대응해야 하는 정보, 의료, IT서비스, 교육 등 지식 집약적 산업의 종사자들의 업무 생산성을 끌어올릴 수 있을 것"이라며 "다양한 파트너사들과 협업해 사회적 가치 창출에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