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가계 대출금리가 석달 연속 하락하며 1년3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기준금리 인상에도 경기 둔화 우려로 장기 시장금리가 따라 오르지 않아 이와 연동된 대출금리가 줄줄이 하락한 영향이다.
반면, 중소기업 대출금리는 석 달 연속 상승하며 3년10개월 만에 처음으로 4%대를 돌파했다.
한국은행이 26일 발표한 '2019년 1월 중 금융기관 가중평균 금리'에 따르면 지난달 예금은행의 신규취급액 기준 가계 대출금리는 평균 연 3.58%로 전월보다 0.03%포인트 하락했다. 이는 지난해 11월부터 3개월 연속 하락한 수치로, 2017년 10월(3.51%)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지난해 11월 한은이 기준금리를 인상했음에도 가계 대출금리가 하락한 것은 연동된 시장금리가 내려갔기 때문이다. 가계대출 금리의 주요 지표인 5년 만기 은행채(AAA) 금리는 지난달 2.09%로 전월보다 0.02%포인트 떨어졌다.
또 경기둔화 우려감이 확대되면서 기준금리가 당분간 인상되기 힘들다는 관측에 장기금리가 하락세를 나타나 영향을 줬다는 게 한은 측의 설명이다.
가계대출 가운데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3.12%로 전월보다 0.07%포인트 하락했다. 이는 2016년 11월의 3.04% 이후 최저 수준이다. 집단대출 금리도 3.14%로 0.09%포인트 하락했고, 일반 신용대출 금리는 4.57%로 0.07%포인트 떨어졌다.
일반신용대출금리는 0.07%포인트 하락한 4.57%를 나타냈다. 지난해 10월(4.39%)부터 3개월 연속 오르던 신용대출 금리가 떨어진 것은 지표가 되는 단기 시장금리가 하락 전환한 영향이다. 지난달 은행채 3개월과 6개월물 금리가 0.04%포인트, 0.03%포인트씩 떨어졌다.
가계대출과 다르게 기업대출금리는 상승했다. 기업대출금리는 3.81%로 전월보다 0.04%포인트 올라갔다. 이 중 대기업 대출금리는 3.58%로 전월보다 0.08%포인트 상승했고, 중소기업 대출금리는 0.02%포인트 올라 4%를 돌파했다. 중소기업 대출금리가 4%대를 넘어선 것은 2015년 3월(4.02%) 이후 3년10개월 만에 처음이다.
기업대출 금리가 상승한 것은 은행들의 고금리 대출 취급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일부 은행에서 비우량 중소기업 대출이 늘어난 점도 금리 상승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기업과 가계를 합한 전체 대출금리는 전월보다 0.01%포인 상승한 3.73%를 기록했다.
단기 시장금리 하락에 은행 수신금리는 다시 내림세로 돌아섰다. 지난달 예금은행의 저축성수신평균 금리는 지난해 12월 2.05%에서 0.05%포인트 떨어진 2%를 나타냈다. 순수저축성 예금금리가 2.01%로 0.04%포인트 떨어졌고, 시장형 금융상품 금리가 1.98%로 0.06%포인트 하락했다.
예금금리는 떨어졌으나 전체 대출금리가 오르면서 예금·대출 금리 차이인 예대 금리 차(잔액 기준)는 2.31%포인트로 전달과 동일했다.
비은행 금융기관 대출 금리는 대체로 상승했다. 상호저축은행 대출금리의 경우 1월에 11.36%로 전달에 비해 1.08%포인트 급등했다. 상호금융은 2.26%에서 2.35%로 0.09%포인트, 새마을금고는 2.56%에서 2.60%로 0.04%포인트 올랐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