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욱 연구원은 "역내 MEG 업황 둔화 지속에도 불구하고 수출주에 우호적인 환율 효과가 발생하고, 전 분기 정기보수 진행에 따른 기저효과, 나프타·LPG 가격 하락으로 인한 주요 제품들의 스프레드 개선 등이 이어질 것"이라며 "이에 올해 3분기 실적은 542억원으로 전 분기 대비 큰 폭의 흑자 전환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또한 이 연구원은 "6~7월 마진율이 급속히 훼손되었던 에틸렌은 최근 스팀 크래커의 정기보수로 동남아시아의 공급 감소, 미국 등 역외 물량 출회 감소 및 중국 지역 당국의 공해조절책 발표 등에 따른 중국 내 스팟 가용성 제한 등으로 최근 변동마진율이 올해 1분기 수준으로 회복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HDPE·PP 등 폴리머도 최근 다운스트림(건설·자동차 등) 시황의 부진에도 불구하고, 나프타 가격 하락으로 변동마진율이 7월 중순 이후 반등하고 있다는 점도 긍정적"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