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행정안전부와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과기정통부는 D.N.A(데이터, 네트워크, 인공지능) 기반 강화를 위해 현 정보통신정책실을 개편, 인공지능기반정책관을 신설하고 네트워크 관련 정책을 총괄 조정하는 전담기구를 설치한다.
과기정통부는 "디지털혁신의 원동력인 AI, 빅데이터 등 신기술 분야 정책 수립, 네트워크 고도화 및 안전관리 강화를 통해 국민편의를 높이고 문재인 정부의 국정운영 목표인 '혁신성장'을 차질 없이 추진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동안 AI 정책은 과기정통부 내 각 부서에서 개별사업에 따라 분담하는 방식으로 이뤄져 이를 총괄하는 전담부서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았다. 네트워크 분야 역시 5G 이동통신 등 초고속 네트워크가 확산되면서 네트워크의 물리적 안전성 확보가 절실한 상황이었던 점이 이번 조직개편의 배경으로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우선 정보통신정책실에 '인공지능기반정책관'을 신설해 AI, 빅데이터 및 혁신인재 양성 분야 정책 기능을 대폭 강화한다.
인공지능기반정책관에서는 데이터·AI 간 융합을 통한 혁신서비스, 블록체인 등 플랫폼 기술 개발 지원 및 혁신과 성장을 이끄는 인재양성 업무에 주력한다. 또 현재 인터넷융합정책관을 '정보통신정책관'으로 개편해 규제혁신, 디지털 포용정책, 산업.사회 각 분야 디지털화 등 디지털 혁신을 더욱 속도감 있게 추진하도록 했다.
네트워크의 고도화 및 정보보호, 방송.통신 정책 전반의 종합컨트롤 타워역할을 수행할 네트워크정책실도 신설한다. 특히 현재의 정보보호정책관을 '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관'으로 확대 개편, 네트워크의 물리적 위험과 사이버 침해를 포괄하는 통합적 네트워크 보안 등 네트워크 종합관리기능을 강화한다.
최기영 과기정통부 장관은 "이번 조직개편은 정부혁신을 통한 국가경제 성장의 발판을 마련하는 것으로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할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 정비된 조직을 효율적으로 운영해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DNA 정책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