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픽사베이

시중은행들이 코로나19 사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에 대한 금융지원에 적극 나서고 있다.

주요 거점지역에 전담기구를 신설해 소상공인 금융상담을 늘리는 한편 추가대출과 관련해서는 지점장의 전결 권한을 확대함으로써 심사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 하는데 힘쓰고 있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KB국민은행은 코로나19 피해기업에 대한 신속한 금융지원을 위해 '심사 신속지원반'을 운영한다.

서울 본점을 비롯해 부천, 남동공단(경인), 판교, 수원(경기), 대전(대전·충청), 대구(대구·경북), 부산(부산·경남), 광주(호남) 등 9곳에 신설되는 심사 신속지원반은 코로나19 피해기업이 대출을 신청하면 전담심사역을 배정해 최우선적으로 지원한다.

이와 함께 현장에서 발생하는 애로사항 모니터링과 관련 제도·시스템 개선을 위해 현장지원반이 신설된다. 자금지원을 원하는 소상공인은 비대면 정책자금 플랫폼인 'KB bridge'를 통해 맞춤형 정책자금을 추천받을 수 있다.

신한은행과 우리은행은 여신심사를 일선 영업점장에 일임하며 신속한 금융지원에 나섰다.

소상공인에 대한 여신심사시 신용등급을 3단계 상향조정한 수준으로 금리·한도 등을 결정하는 '완화된 여신심사 적용 지침'을 마련한 신한은행은 추가대출 관련 여신심사에 대해서는 지점장 전결을 원칙으로 함으로써 심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했다.

우리은행도 대구·경북지역 영업점을 대상으로 한시적인 지점장 추가대출 전결권한을 부여했다.

특별전담심사반을 구성한 우리은행은 해당지역 개인사업자 6000여곳, 중소법인 1100여곳을 우선지원사업자로 선정하고 이들 기업의 대출신청건에 대해서는 2영업일 내에 심사결과를 통보하는 신속 심사지원제도를 도입했다.

비상대응체계를 가동하고 있는 금융당국도 일부 소진되고 있는 정책금융상품에 대해 추가 공급을 결정하며 지속적인 금융지원에 나서고 있다.

지난 2월 7일부터 3월 10일까지 지원된 신규자금 지원 2조633억원, 만기연장·원금상환유예 2조4060억원 등 총 4조6346억원으로 집계됐다.

기관별로는 정책금융기관을 통해 1조3321억원(2만88건), 민간금융회사에서 7311억원(1만2221건)의 신규자금 지원이 이뤄졌고 만기연장·원금상환유예는 정책금융기관 1조3503억원(2만2111건), 민간금융회사 1조557억원(3282건)으로 나타났다.

금융당국은 일정기간의 심사를 거친 이후 민간금융회사에서 추진하는 금융지원 증가세가 확연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나 소상공인의 자금신청 대부분이 보증부 대출에 몰리면서 보증심사 단축방안을 고민하고 있다.

금융위 관계자는 "신보 퇴직자들을 중심으로 단기계약을 통해 지신보 보증심사 업무지원에 투입되고 있으며 은행으로의 업무위탁 범위를 넓혀 심사기간을 줄이는데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