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대 총선이 여당의 압승으로 결론났다. 코로나19로 억눌린 실물경기 진작에 힘이 실리겠지만 증시에 얼마나 직접적인 영향을 줄지 관심이 쏠린다.
총선 결과는 당장 증시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모습이다. 선거 이후 증시가 약세한다는 선례를 반복하지 않고 코스피는 미국의 4차 경기 부양 기대감 등에 지난 17일 1900선에 안착했다. 외국인도 한달 여 만에 순매수로 전환했다.
이번 총선으로 더불어민주당과 비례정당 더불어시민당이 180석을 확보해 국정 리더십이 강화될 전망이다. 야당의 필리버스터 등을 무력화시킬 수 있는 강한 정책 추진력을 가지게 된다.
정부는 일단 코로나19 여파를 제한하기 위해 경기 부양에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경기 지표들이 코로나19 여파를 반영하기 시작하면서 예상치를 하회하고 있다.
여권의 증권 시장 관련 대표적인 공약은 증권거래세 단계적 폐지다. 증권거래세는 주식을 매도할 때 내는 세금인데 지난해 초부터 폐지와 관련한 논의가 시작되며 속도가 붙었지만 당국은 폐지 대신 인하를 결정했다.
주가가 떨어져 손해를 봐도 세금을 내야 한다는 점에서 개인 투자자들 사이에서 증권거래세 폐지 목소리가 컸다.
다만 증권거래세 단계적 폐지는 미래통합당도 내건 공약이어서 이번 선거 결과가 시장 분위기를 크게 반전시킬 요인은 아닐 것으로 보인다.
주식 양도세 요건도 완화될 가능성이 크다. 여당은 증권거래세와 양도세의 이중 과세 문제를 해소하겠다는 복안이다. 하지만 양도세는 일부 대주주에만 해당되는 것이어서 시장 전반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전망이다.
공매도 규제 역시 증권업에서 큰 쟁점 중 하나다. 공매도 폐지를 주장하고 있는 김병욱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당선됐지만 공매도 폐지가 당장 실제 정책으로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공매도 규제 강화의 경우 미래통합당의 공약이었다.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가늠해 보려면 각 업종별 공약을 살펴보면 된다. 여당은 바이오, 핀테크 등 4차 산업분야 기술혁신형 기업 양성을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김성근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장기적으로 다양한 벤처 기업들의 성장에 부정적이지는 않은 내용으로 바이오, 핀테크 등 4차 산업분야의 수혜 가능성이 제기될 수 있다"고 말했다.
'제조업 혁신성장 및경쟁력 강화 특별법' 제정으로 스마트 산단 및 공장 조성, 시스템반도체·미래차 등 신산업 육성, 향후 5년간 소재·부품·장비산업 중소기업 300개사 집중육성, 소프트웨어·인공지능·미디어 콘텐츠 산업 지원 등도 공약에 포함돼 있다.
김용구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이 같은 공약이 정책 수혜주의 원천이 될 수 있다"며 "21대 총선과 관련한 정책 수혜주 찾기 논의는 단순 테마나 이슈 짝짓기가 아닌 중장기 시각하 기업 실적 펀더멘탈 측면 옥석 가리기에 기초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