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환경부가 ‘인공지능 기반 정수처리 시스템’ 도입한다. 추가경정예산으로 즉시 착수 가능한 ‘광역상수도 스마트관리체계 구축’을 추진한다.
12일 환경부에 따르면 인공지능 기반 정수처리 시스템 도입 대상은 정수장과 조류 발생 위험이 높은 취수원 등 48개 광역 및 공업용수도 시설이다.
첨단 기술을 활용해 정수처리용 약품 투입을 자동화하고 사고를 조기에 감지한다. 스마트 안전관리가 가능한 지능형 정수장 구현기술이다. 정수장의 자동화 및 정밀 운전으로 최적 운전이 가능하며 실수로 인한 사고도 줄여준다.
광역상수도 스마트관리체계가 도입되면 취수-정수-공급까지 수질 및 누수 관리는 물론 수도관 파손이나 오염사고에 대한 위기대응 체계도 강화된다. 환경부는 그린뉴딜 정책에 포함될 ‘광역상수도 스마트관리체계’의 구축을 위해 차관이 현장 점검에 나서는 등 사업 착수에 들어갔다.
홍정기 차관은 이날 한국수자원공사에서 관리하는 화성정수장을 점검했다. 홍 차관은 ‘광역상수도 스마트관리체계’의 일환으로 2023년에 완성될 예정인 ‘인공지능(AI) 기반 정수처리 시스템’ 사업추진 계획을 보고받고 해당 시스템이 도입될 시설을 시찰했다.
홍 차관은 "그린뉴딜의 중요한 축을 맡게 될 광역상수도 스마트관리체계를 차질없이 추진해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경제에 활력이 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