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999년부터 매년 조사해온 정보화통계의 조사대상을 올해부터는 1인 이상 사업체 단위에서 10인 이상 기업체 단위로 변경한다고 23일 밝혔다.
정보화통계는 우리나라 전국 사업체의 정보화 이용 수준을 조사하는 국가승인통계로서 2005년부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유엔 등 국제기구에 제공되는 우리나라 공식통계이다.
그동안 정보화통계의 조사대상이 OECD 기준과 달라 국제기구가 국가 간 정보화수준을 비교·분석해 발간하는 각종 보고서에 우리나라의 정보화 위상이 제대로 반영되지 못한 측면이 있었다.
이에 조사대상을 OECD 권고에 맞춰 종사자 10인 이상 개인사업체 및 회사법인으로 변경하기로 했다. 또 통계의 시의성과 정책 활용도 제고를 위해 조사지표의 개편도 추진한다.
기존 58개 조사지표 중 시의성이 떨어져 정책 활용도가 저조한 지표 20개를 삭제해 응답자의 부담을 대폭 줄였다. 대신 정책적 활용도가 높은 신기술 관련 지표 3개(인공지능 활용 분야, 빅데이터 분석 시 활용 데이터의 유형, 5G의 산업적 활용에 대한 인지 여부)를 추가한다.
업종 구분은 기존 13개에서 16개 업종으로 세분화했다. 특히 원격근무시 활용하는 기능을 세분화했고 코로나19 전후의 원격근무 변화를 비교할 수 있도록 했다.
개편된 2020년 정보화통계조사는 이달 말부터 10월초까지 약 22만개 기업체 중 표본으로 선정된 1만2500개 기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한다. 12월말 조사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