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는 충전용 보조배터리(리튬계 2차전지 폐기물) 발생량이 증가에 따라 10개 지자체와 재활용 시범사업을 추진한다고 6일 밝혔다.

참여 지차제는 경상남도(창원·양산·김해), 경상북도(구미), 충청북도(청주), 대구광역시(달서구‧북구), 부산광역시(수영구), 대전광역시(유성구‧중구) 등이다. 한국환경공단, 한국전지재활용협회, 폐2차전지 재활용업체가 참여한다.

그간 충전용 보조배터리는 생산자의 회수·재활용 의무, 재활용 방법과 기준이 법령에 명시되어 있지 않아 대부분 단순폐기되거나 일부만 회수됐다. 리튬계 2차전지 폐기물 발생량은 2019년 809톤, 2020년 817톤, 2025년 874톤, 2030년 913톤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이번 시범사업을 대상 지역 주민들이 기존 폐건전지 분리수거함에 충전용 보조배터리도 함께 배출한다. 이후 지자체별 수거업체가 폐건전지와 충전용 보조배터리를 집하장으로 운반해 1차 선별‧보관한다. 집하장에 보관된 폐전지류는 권역별 입고량에 따라 정기적으로 한국전지재활용협회를 통한 권역수거 또는 재활용업체에 의해 직접 수거된다.

폐2차전지 재활용업체는 충전용 보조배터리를 현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EPR) 대상 품목과 별도로 2차 선별해 재활용한다.

환경부 관계자는 "충전용 보조배터리의 올바른 분리배출 방법을 알리고 시범사업 결과를 회수‧재활용 제도개선 마련에 활용할 것"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