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8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화상으로 열린 '제20차 한·중·일 재무장관 중앙은행총재 회의'를 의장으로서 주재, 발언을 하고 있다.ⓒ기획재정부

한‧중‧일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이 경제활동의 위축, 금융시장 변동성 심화, 글로벌 가치사슬 손상 등 역내 경제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했다.

이번 회의에서 한‧중‧일 재무장관과 중앙은행총재들은 최근 3국 및 세계 경제‧금융동향과 주요 리스크 요인, 역내 금융협력 강화 방안 등에 대해 논의했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18일 화상으로 개최된 '제20차 한·중·일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 회의'에 참석했다. 이날 회의에는 류쿤 재무장관, 이강 중국인민은행 총재(첸 부총재 대리참석)(中), 아소 부총리 겸 재무장관(오카무라 차관 대리참석), 구로다 일본은행 총재(日)가 자리했다. 홍 부총리가 의장직을 수행했다.

한·중·일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는 3개국 회의에서 코로나19 충격에 대응한 경제정책 및 역내 금융협력에 관해 의견을 교환했다.

참석자들은 글로벌 및 역내 경제동향과 코로나19의 충격 및 정책대응 등에 대해 논의하였고 경기회복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을 지속할 필요성에 공감하면서 했다. 역내 금융협력 진전현황을 점검하고 향후에도 역내 금융안전망 강화를 위해 노력하기로 합의했다.

CMIM(Chiang Mai Initiative Multilateralisation) 협정문 개정합의로 CMIM이 금융안전망의 중요한 구성요소로서 팬데믹을 포함한 각종 위기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역내 경제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는 의견이 공유됐다.

CMIM은 지난 2010년 3월 출범해 ASEAN+3(한·중·일) 회원국간 위기가 발생할 경우 달러 유동성을 지원하여 역내 금융시장 안정을 도모하는 협정이다.

또 MRO(Macroeconomic Research Office)가 거시경제 감시 역량을 강화하고 있는 점을 평가하며, 특히 코로나19의 역내 영향을 분석하여 제공한 점도 높게 평가했다.

끝으로 올해 ASEAN+3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 회의 의장을 맡은 일본과 베트남의 리더십을 평가하며 내년도 의장국인 한국과 브루나이를 지원하기로 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