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T가 4만원대의 5G 중저가 요금제를 선보였다. 5G에 가입하면 무조건 월 8만원대 이상의 요금제를 써야 했던 소비자들의 선택권을 확대한 것이다.
KT의 선제공격에 따라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도 조만간 비슷한 수준의 요금제를 선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6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5G 서비스가 국내에서 상용화된 지 약 1년 반 만에 중저가 요금제가 출시됐다.
첫 시작을 끊은 것은 KT다. KT는 '5G 세이브'(월 4만5000원)와 '5G 심플'(월 6만9000원) 등 신규 요금제 2종을 지난 5일 출시했다. 선택약정 25% 할인을 받으면 두 요금제는 각각 3만3750원, 5만1750원까지 떨어진다.
데이터를 많이 쓰지 않는 고객이 타깃인 '5G 세이브'는 매월 5GB의 데이터를 제공한다. '5G 심플'은 월 8만원대인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 '슈퍼플랜 베이직' 바로 아래 단계의 요금제로 데이터 제공량을 월 110GB로 제한했다.
KT 관계자는 "5G 서비스를 사용하는 고객의 선택권을 넓히기 위해 신규 요금제를 선보였다"고 설명했다.
그동안 5G 서비스는 요금에 비해 서비스 품질이 떨어진다는 평가 때문에 소비자들을 주춤하게 만들었다. 상용화된 지 1년 반이 지났지만 아직 전국망이 확충되지 않아 서비스가 불완전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통신3사는 올해 5G 투자에 박차를 가해 서비스 완성도를 높이려 했지만 코로나19 사태가 터지면서 계획에 차질을 빚었다.
이런 가운데 KT가 중저가 요금제를 출시해 소비자들의 5G 진입 장벽을 낮추면서 관심을 끌고 있다.
업계에서는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도 조만간 비슷한 수준의 요금제를 내놓을 것으로 보고 있다. 5(SKT)대 3(KT)대 2(LGU+)로 가입자 비율이 굳어진 국내 시장의 특성 상 한 사업자가 요금제 가격을 낮추면 가입자를 빼앗기지 않기 위해 경쟁사도 비슷한 요금제를 출시해왔다.
실제로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 모두 연내 중저가 5G 요금제 출시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통신3사가 모두 중저가 5G 요금제를 출시하면 국내 5G 가입자는 올해 1천만명을 돌파할 것으로 전망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지난 8월 말까지 5G 가입자는 865만8222명으로 전월 대비 80만1017명(10.2%)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