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이동통신가입자 중 자급제 단말기 사용자의 비중이 1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조승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8년 12월에 383만3000여대로 수준이었던 자급제 단말기 사용자 수가 2020년 7월에 534만9000여대로 증가했다.
과기정통부는 지난 2018년 12월 ‘소비자 관점의 자급제 활성화 방안’을 발표한 이후 유통망 다양화 및 대상 기종 확대, 개통 편의 제고 등 단말기 자급제 활성화 노력을 지속해왔다.
이에 따라 2017년 3종에 불과했던 자급제 단말기 기종이 2019년에는 26종까지 확대됐고 이마트, 쿠팡 등 주요 채널을 통한 자급제 단말기 판매량도 지속적으로 증가해왔다.
특히 쿠팡에서 판매된 자급제 단말기 수는 2018년 5000여대에서 2019년 8만여대로 1600% 수준의 폭발적 증가를 보이기도 했다.
다만 과기정통부의 단말기 자급제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노력은 여전히 미온적이라는 것이 조 의원의 주장이다.
지난 5월 시민단체 소비자주권시민회의가 발표한 조사에 따르면 과기부가 발표한 ‘소비자 관점의 자급제 활성화 방안’에서 제시된 12개 이행방안 중 2개는 이행, 4개는 부분이행, 6개는 미이행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에서도 과기부가 단말기 자급제 활성화와 제도 개선 노력에 더 적극적으로 나서줄 것을 꾸준히 촉구해왔다.
지난 7월에는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조승래 의원이 5G 자급제 단말기를 신규 개통을 할 때 이동통신사가 5G 요금제 가입을 강요해 소비자의 선택권을 침해해온 점을 지적하며 과기부에 개선책 마련을 요구한 바 있다.
과기정통부는 이러한 지적을 반영해 지난 8월부터 5G 자급제 단말기를 구입한 소비자가 LTE 서비스에 신규로 가입·개통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제도를 개선했다.
조 의원은 "전 세계 자급제 단말기 비중이 70%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우리나라는 2012년에 단말기 자급제가 시행되고 8년이 지나서야 자급제 단말기 사용자 비중이 10%에 인접했다는 것은 그 동안 과기부의 정책적 노력이 충분하지 못했다는 것"이라며 "자급제 단말기를 구매하여 합리적인 소비를 추구하는 소비자가 늘어나고 있는 지금 과기부는 단말기 자급제 정책 개선 및 확장을 위해 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