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19가 언택트 시대로의 전환 등 새로운 일상과 위기를 가져왔으나 이를 극복하고 보다 나은 일상으로 나아가고자 다 같이 노력해야 한다. 여기에 삼성전자가 사람 중심의 기술과 혁신을 통해 적극적으로 기여하겠다."
승현준 삼성리서치 사장은 11일(현지시간) 세계 최대 전자 전시회 CES 2021 개막에 맞춰 진행한 '삼성 프레스컨퍼런스'에서 이 같이 강조했다.
이날 승 사장은 새로운 시대를 맞아 점점 더 다양한 역할을 하고 있는 '홈'을 중심으로 개인의 라이프스타일과 취향까지 고려하는 삼성의 혁신 제품과 인공지능(AI)·사물인터넷(IoT) 기반 서비스를 대거 소개했다.
승 사장은 개인의 취향과 주거공간 등에 따라 필요한 제품 타입과 색상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 '비스포크'냉장고를 언급하고 "올봄 북미에도 4도어 타입의 비스포크 냉장고를 선보일 것"이라고 밝혔다.
사람들의 일상에 가장 밀접한 제품 중 하나인 TV의 경우 나만의 갤러리를 만들어 주는 '더 프레임(The Frame)'에서 나만의 초대형 홈 시네마를 구현해 주는 '더 프리미어(The Premiere)'까지 다양한 라이프스타일 TV를 통해 삼성이 각기 다른 소비자들의 성향을 얼마나 섬세하게 배려하고 있는지를 설명했다.
올해 CES 2021에서 최고 혁신상을 수상한 '마이크로 LED' 110형은 최고의 디스플레이 기술을 집약해 소비자가 스크린에서 원하는 모든 경험을 최적화해주는 디스플레이라고 소개했다. 이 제품은 올 3월 한국을 시작으로 글로벌 시장에 도입된다.
삼성전자는 혁신 제품과 기술 외에도 지속 가능한 미래를 만들기 위한 비전과 노력을 비중 있게 소개했다.
삼성전자는 TV 업계 글로벌 리더로서 소외받는 사용자가 없도록 접근성 개선과 친환경 제품 확대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삼성 스마트 TV는 '수어 화면 자동 확대 서비스' 등으로 뛰어난 접근성을 인정받아 CES 2021에서 최고 혁신상을, 색각 이상자를 위한 보정 앱인 '씨컬러스(SeeColors)'로 CES 2018에서 혁신상을 수상한 바 있다.
올해 출시되는 네오(Neo) QLED와 QLED 신제품에는 태양광이나 실내조명으로 충전하고 재생 플라스틱을 적용한 솔라셀 리모컨을 도입해 온실가스 저감에 기여한다.
삼성전자는 무선 제품 관련 '갤럭시 업사이클링 앳 홈(Galaxy Upcycling at Home)' 프로그램도 소개했다.
갤럭시 단말기를 스마트싱스 앱으로 제어하는 IoT 기기로 재탄생 시켜 아기의 울음소리를 감지해 알림을 받거나 혼자 있는 반려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해 거실 조명을 원격으로 켜주는 등 필요한 가정에서 스마트 모니터링 기기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이외에도 삼성전자는 △저전력 그린 메모리 기술 △가전제품에 사용되는 물과 전기를 절약하는 AI 기술 △구형 스마트폰을 이용한 안구 질환 검사 장치 △TV 포장재로 소형 가구를 만들 수 있는 에코 패키지 적용 등을 소개했다. 삼성전자는 앞으로도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해 적극적인 노력을 하겠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