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는 3일 제주도 신재생에너지 홍보관에서 '지역 주도 분산에너지 활성화 대책'을 발표했다. 산업부, 민주당 탄소중립 특별위원회, 제주도청이 공동 주관하고 한전·한난·전력거래소·에너지공단 등 관계기관이 참여했다.
'분산에너지'란 중소 규모 재생에너지·열병합발전·자가발전·ESS(에너지저장장치) 등으로 수요지 인근에서 생산돼 해당 지역에서 소비되는 에너지를 뜻한다. 대규모 발전소 및 송전선로 건설 관련 사회적 갈등 증가로 수요지 인근에서 생산·소비되는 에너지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증가하는 추세다.
'지역 주도 분산에너지 활성화 대책'은 재생에너지 비중이 높아 분산에너지 시스템이 긴요한 제주도의 상황을 고려해 분산에너지 활성화 로드맵 중 단기 추진이 가능한 대책을 담았다. 추후 시장제도 개선 방안, 인센티브 제도 구축 등 중장기 제도개선을 종합한 로드맵을 발표할 예정이다.
산업부는 ‘지역이 주도하는 분산에너지 시스템 구축’이라는 목표 아래 주요 대책으로 ▲지역 주도 에너지 시스템 실현 ▲분산형 에너지 인프라 구축 ▲제주지역 재생에너지 출력 최소화 방안을 마련했다.
먼저 마을 내 다양한 분산전원을 보급하고 지역 특성을 반영한 다양한 에너지 체계를 구축하도록 맞춤형 마이크로그리드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예를 들어 충남 홍성군 원천마을은 축산분뇨를 바이오가스로 전환해 에너지를 생산, 이를 인근에서 소비한다.
또한 분산에너지 비중이 높아 분산자원의 체계적 관리가 필요한 지역을 '분산에너지 특구'로 지정, 통합발전소·배전망운영자제도 실증, 생산자·소비자간 직접 거래 등 전력거래 특례를 허용할 계획이다.
아울러 재생에너지 변동성 완화를 위해 150MW 재생에너지 추가 수용이 가능한 계통안정화 ESS 23MWh를 올해 안에 제주도부터 구축할 예정이다. 더불어 잉여전력을 소비하면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수요반응 제도(DR·Demand Response)를 제주도에서 조만간 도입할 계획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지역 주도 분산에너지 활성화 대책을 차질없이 이행하기 위해 ‘제주 에너지 협의회’를 구성·운영할 계획"이라며 "시장제도 개선 방안, 인센티브 제도 마련 등 중장기 제도개선 방향을 포함한 분산에너지 활성화 로드맵을 상반기 중 수립할 예정"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