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텔레콤이 1984년 설립 이후 37년 만에 업(業)을 새롭게 정의하고 기업분할에 나선다. 인적분할을 통해 통신과 반도체, 정보통신기술(ICT)을 담당하는 두 회사로 나누는 것이다.
SK텔레콤은 AI & Digital Infra 컴퍼니(SKT 존속회사)와 ICT 투자전문회사(SKT 신설회사)로 인적분할을 추진한다고 14일 밝혔다. 회사명은 추후 결정될 예정이다.
SK텔레콤은 "이번 인적분할의 취지는 통신과 더불어 반도체, 뉴(New) ICT 자산을 시장에서 온전히 평가받아 미래 성장을 가속화하고 주주가치를 제고하는 데 있다"고 설명했다.
국내 1위 통신 사업과 신성장 사업을 분리함으로써 각 영역에 적합한 경영구조와 투자기반을 갖춰 반도체와 뉴 ICT 사업을 확장하고 주주들에게 통신 사업과 신성장 사업에 대한 투자 선택권을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SKT 존속회사는 SK브로드밴드 등을 자회사로 두고 인공지능(AI)과 디지털 신사업을 확장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대표적으로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구독형서비스 등이다. 존속회사는 안정적인 현금흐름을 기반으로 5G 유망산업에서 미래 수익을 창출하고 AI, 디지털 인프라 등 혁신기술 개발에 지속 투자함으로써 ICT 산업 발전에 기여한다는 계획이다.
SKT 신설회사는 국내외 반도체 관련 회사에 적극 투자함으로써 반도체 강국의 위상을 강화하는 중책을 맡는다. 과거 SK하이닉스가 키옥시아(구 도시바메모리) 투자, 인텔 낸드 사업부 인수를 진행했을 때보다 더욱 활발한 투자가 예상된다. 또 ADT캡스, 11번가, 티맵모빌리티 등 뉴 ICT 자회사들의 기업공개(IPO)를 적극 추진해 자회사들의 기업가치를 높게 평가받고 '수익창출-재투자'의 선순환 구조를 만들 예정이다.
SK텔레콤은 일각에서 제기되는 신설회사와 SK㈜의 합병설에 대해서는 "합병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SK텔레콤은 이번 분할을 통해 주주들이 SKT 존속·신설회사의 사업성과와 투자현황을 좀 더 분명하게 파악하고 개인성향에 맞게 투자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될 것으로 보고 있다. 앞으로 SK텔레콤은 이사회 의결, 주주총회 등 제반 절차를 거쳐 연내 분할을 완료할 계획이다.
박정호 SK텔레콤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온라인 타운홀 행사를 열고 "SK텔레콤의 자산을 온전히 평가받고 더 나은 미래로 나아갈 시점"이라며 "분할 후에도 각 회사의 지향점에 따라 계속 성장하는 회사를 만들자"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