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이노베이션이 탄소 포집·저장(Carbon Capture & Storage·CCS) 사업화에 선제적으로 나선다.
SK이노베이션은 석유공사의 동해가스전을 활용한 CCS 사업 국책과제 관련 협약을 체결했다고 26일 밝혔다.
SK 관계자는 "지구 온난화 주범으로 꼽히는 이산화탄소를 발생단계에서 제거함으로써 지구환경에 도움이 되게한다는 그린 밸런스 전략의 일환"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2030년까지 연간 400만톤 이상 CCS 구축을 추진한다. 첫 단계로 2022년 6월 천연가스 생산이 종료되는 동해가스전을 활용한 CCS 사업을 진행한다. 2025년부터 연간 40만톤의 이산화탄소를 포집-이송해 동해가스전에 저장하는 프로젝트다.
국책과제 주관기관인 석유공사는 지난 2월부터 과제 평가를 마치고 SK이노베이션 등 3개 민간업체 및 공주대·이화여자대 등 산학연과 협약을 맺었다. SK이노베이션과 SK에너지는 울산지역 산업시설의 이산화탄소 경제적 포집 기술 모델을 개발한다. 석유공사와 민간업체는 이송-저장 모델 개발에 참여한다.
SK이노베이션은 최적의 탄소 포집 기술 검증을 통해 사업 타당성 평가 및 CCS 사업 진행시 탄소배출권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또한 최적 CC 기술을 SK에너지 울산공장 수소 플랜트에 적용할 경우 이산화탄소 감축 등 효율 개선에 기여할 전망이다.
이와 관련 SK이노베이션과 SK에너지는 지난 2월 노르웨이 국책연구소 주관으로 진행된 유럽연합의 CCS 연구 협력에 참여한다고 밝힌 바 있다. SK 내부적으로 '차세대 이산화탄소 포집 흡수제 개발'을 진행중이다.
이성준 SK이노베이션 환경기술원장은 “산업계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감축을 위해 CCS 기술은 필수 조건”이라며 “CCS 기술 선제적 확보를 통해 그린밸런스2030 달성에 기여하고 ESG 경영 가속화에도 힘쓸 것”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