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J ENM이 5년간 콘텐츠 제작에 5조원을 투자해 글로벌 토탈 엔터테인먼트 기업으로 도약하겠다는 비전을 발표했다.
강호성 CJ ENM 대표이사는 31일 서울 마포구 상암동 CJ ENM 센터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고객과 직접 소통하는 양방향의 커뮤니케이션으로 고객의 취향을 실시간으로 반영하고 콘텐츠 제작 형태를 다변화해 다양한 고객의 니즈를 충족시키는 완결형 엔터테인먼트 기업이 되겠다"고 밝혔다.
강 대표는 "웰메이드 IP 양산 시스템과 인프라를 구축함과 동시에 콘텐츠에 대한 투자도 대폭 늘려나갈 예정"이라며 "올해만 8000억원의 콘텐츠 투자비용이 잡혀 있고 향후 5년 동안 5조원 규모 이상의 콘텐츠 투자를 실행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CJ ENM은 △콘텐츠 제작 역량 고도화 △음악 메가(Mega) IP 확보 △디지털 역량 강화 △제작역량 글로벌화에 대한 전략을 내놨다. 이 자리에는 티빙 양지을·이명한 공동 대표이사도 참석했다.
강 대표는 "LTV(가치주기)를 가진 프랜차이즈 IP를 지속적으로 창출해 내며 드라마, 영화, 웹툰, 공연간 트랜스 미디어 콘텐츠를 만들어내는 완결형의 자체 제작 생태계를 완성하겠다"고 말했다.
2016년 스튜디오드래곤을 통해 전문적인 드라마 제작 스튜디오 시대를 열었던 것에서 나아가 예능·영화·디지털·애니메이션 등에서도 전문화된 멀티 스튜디오 구조를 갖춰간다는 구상이다. 전문화된 스튜디오 구조에서 제작된 콘텐츠는 티빙 뿐만 아니라 넷플릭스를 비롯한 글로벌 OTT에도 공급할 예정이다.
음악사업은 글로벌 확장을 위해 메가 IP를 지속적으로 확보, 육성해 나갈 계획이다. 현재 HBO-MAX와 손잡고 남미 케이팝 아이돌 그룹 오디션 프로그램도 기획·개발에 들어갔다. 오디션 프로그램 제작 역량을 바탕으로 향후 글로벌 오디션 프로그램 제작을 통해 K-POP 메가(Mega) IP를 확보, 참여·경험형 글로벌 콘텐츠 생태계를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티빙은 CJ ENM의 디지털 혁신을 주도하며 글로벌 플랫폼으로 확장해 K콘텐츠를 전 세계에 보급하는 창구 역할을 맡는다. 2023년까지 약 100여 편의 오리지널 제작, 800만명의 유료 가입자를 확보하고 내년에는 글로벌로 사업을 확장한다.
양 대표는 "지난해 10월 독립법인 출범 이후 누적 유료 가입자 수가 63% 증가하는 등 괄목할 성장을 하고 있고 같은 기간 앱 신규 설치율은 67%, 월간 UV(Unique Visitors, 한 번 이상 방문한 고객)도 41% 증가하는 등 폭발적인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티빙은 20~30대 가입자 중심에서 중장년 유료 가입자 증가율도 출범 대비 지난달 기준 40대 28%, 50대 46%, 60대 33%로 크게 늘고 있다. 전체 유료 가입자 중 절반 이상(57.1%)의 고객이 하루에 최소 한 개 이상의 콘텐츠를 시청하고 있다.
이 대표는 "티빙의 오리지널 전략은 다양한 콘텐츠를 통해 다양한 취향의 고객들을 티빙의 팬으로 만드는 것"이라며 "팬덤을 만들어 나가기 위해 전체 오리지널 투자의 50% 이상을 프랜차이즈 IP 육성에 집중 투입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