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I는 올해 3분기에 매출 3조4398억원과 영업이익 3735억원 실적을 달성했다고 2일 발표했다.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분기 최대 실적이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11.4%, 영업이익은 39.7% 늘었다.
삼성SDI의 3분기 사업별 실적은 에너지 및 기타 매출은 2조7409억원으로 전년대비 15% 증가, 영업이익은 2018억원으로 46% 증가했다.
중대형 전지는 수요 감소에도 불구하고 흑자 기조를 유지했다. 자동차 전지는 차량용 반도체 부족에 따른 수요 감소 영향을 받았으나 고부가가치 중심으로 판매가 늘면서 수익성을 유지했다. ESS는 주요 프로젝트의 공급 일정 영향으로 매출이 줄었다.
소형 전지 사업의 경우 매출과 수익성이 모두 향상됐다. 원형 전지는 전기차·전기자전거 등 모빌리티 중심으로 매출이 증가했다. 파우치형 전지는 주요 고객의 신규 스마트폰과 웨어러블용 판매가 증가했다.
전자재료 매출은 698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소폭 감소했으나, 전분기보다 12.3%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1717억원으로 전년대비 32.9%, 전분기대비 35.7% 증가했다.
전자재료는 고부가 제품 매출 증가로 수익성이 향상됐다. 반도체 소재는 SOH 등 고부가 제품이 성장세를 기록했다. OLED 소재는 플래그십 스마트폰용 매출이 증가했다. 편광 필름도 대형 TV용 판매 비중이 확대됐다.
삼성SDI 관계자는 4분기 사업 전망에 대해 "중대형 전지는 고부가 제품 중심으로 판매가 증가할 것"이라며 " 자동차 전지는 반도체 수급 이슈가 지속되겠지만 신형 Gen.5(젠5) 배터리 공급 확대로 판매가 늘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소형 전지는 원형 전지 중심의 판매 확대가 예상된다"며 "파우치형 전지는 해외 고객 신규 스마트폰용으로 판매가 확대될 것"으로 내다봤다. 아울러 "전자재료 부문은 반도체와 OLED 소재 판매 확대가 지속될 전망"이라며 "OLED 소재도 스마트폰용 채용이 확대되면서 판매가 증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