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만도 조성현 총괄사장(왼쪽)과 한국전자기술연구원 김영삼 원장(오른쪽)이 만도 판교 R&D센터에서 공동 개발 협약 체결 후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만도

EV, 자율주행 솔루션 전문기업 만도가 한국전자기술연구원(KETI)과 만도 판교 R&D센터에서 '스마트 E-Mobility 핵심 전장 기술 개발'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전기차 충전 자율주행로봇, 이동식 EV 충전 인프라,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기술 등 다양한 첨단 분야 기술 개발과 실증 협력을 추진하게 된다.

핵심은 기술 융합이다. 만도 섀시 전동화, 자율주행(인지, 판단, 제어) 기술과 KETI 로봇·서비스 소프트웨어 기술 융합이 전동 자율주행 로봇, 스마트팩토리 관련 서비스 플랫폼 제품에 적용될 예정이다. 만도와 KETI는 양사가 보유한 첨단 모빌리티 전장 기술을 교류하고 발전시켜 전기차 등 한국 E-Mobility 산업 저변 확대에 기여한다는 방침이다.

공동 개발 첫 프로젝트는 '전기차 충전 자율주행로봇(EV-ACR)'이다. 상용 수준 로봇 플랫폼 양산을 목표로 하는 'EV-ACR' 계획은 만도의 전동 섀시 엑추에이터와 자율주행 컨트롤 기술을 활용한다. 또한 자회사 만도 모빌리티 솔루션즈의 카메라, 레이다, 라이다 등 인지 센서 기술이 복합 적용되는 지능형 첨단 로봇이다.

만도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 인프라 부족을 '비 고정형 충전 인프라'로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자율주행 로봇이 배터리 카트 등을 이동시켜 충전하는 방식을 개발하고 있다. 이 시스템은 향후 에너지 충전 인프라 사업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디지털 트윈 개발에도 양사가 협력한다. 스마트팩토리 서비스 플랫폼 구축 일환인 디지털 트윈은 다양한 돌발 변수를 가상 세계에서 동기화 시켜 예측 가능한 현실 상황을 증명하는 기술이다. 증명된 시나리오는 실증을 통하여 만도 글로벌 생산사이트에 적용 될 예정이다.

이밖에도 양사는 환경 분야 등에서 새로운 디지털 융합을 시도하여 그린뉴딜 프로젝트의 성공 모델을 함께 만들어 갈 계획이다.

조성현 만도 총괄사장은 "자율주행 엑추에이터 컨트롤 기술, 인지 센서 기술 등 만도와 MMS 전장 기술은 SW 캠퍼스의 차량용 섀시 소프트웨어 개발과 함께 더욱 첨단화 되고 있다"며 "서비스 로봇 소프트웨어 기술 등 KETI와 융합을 통해 전동 자율주행 로봇 기술 리더십 조기 확보는 물론 관련 산업 성장의 개척자가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영삼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원장은 "KETI는 E-모빌리티 충전을 지원하는 자율주행, 로봇 전동화 분야 첨단 기술들을 다수 보유하고 있다"며 "협약 이후 양 기관의 적극적인 기술 교류 및 공동 개발을 통해 차세대 모빌리티 산업 발전에 기여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