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용원 자동차산업협회 상무가 정부가 밝힌 수송분야 탄소중립 계획이 현실에 맞지 않는다고 밝혔다. 또한 계획 이행을 위해서는 전문가들의 연구와 면밀한 시장 분석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 상무는 18일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 컨벤션홀에서 열린 '2021 한국자동차기자협회 심포지엄'에서 '2050 탄소중립 및 2030 NDC 상향이 자동차 산업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주제로 강단에 올랐다.
그에 따르면 정부는 최근 2030년 온실가스 감축 목표치를 기존 26.3%에서 40%로 높였다. 이에 따라 수송 분야에서 2030년까지 전기차 보급 대수를 기존 385만대에서 450만대로 상향 조정했다.
이에 대해 김 상무는 국내 완성차 생태계를 감안했을 때 비현실적인 목표일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자동차는 연결고리형 산업이며, 완성차 생산의 10%를 전기차로 전환하면 17% 고용감소, 20% 전환은 30%, 30%전환은 38% 고용감소가 예상되는 큰 변화"라고 말했다.
이어 "정부 목표 450만대 보급을 달성하면 약 20%의 고용 감소가 예상된다"며 "자동차 업계 산업생태계 고리를 전기차로 바꾸는 과정에서 근로자와 사업자를 돕기 위한 기술·금융적 지원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상무는 미래차 전환 따른 부품 생태계 조성 부문에서의 우려도 밝혔다.
그에 따르면 한국자동차매출 500억미만 기업 중 59.8%가는 미래차 부품 생산 계획이 없으며, 단 16.1%만 관련 투자·개발을 고려중에 있다.
또한 부품 개발부터 양산까지 기간이 최대 84개월 소요되고, 부품 1개 당 개발비용은 평균 5억2900만원, 최대 11억6100만원에 이르는 점을 볼 때 이들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발혔다.
김 상무는 "전기차 부품업체 양산 도달 기업 중 17.8%만 수익 발생 단계에 있는 상황"이라며 "전기차 수명은 내연차만큼 길지 않은 것을 볼 때 산업 전환을 위한 세부적인 조사가 선행돼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