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은행 본사 사옥 전경.ⓒEBN

산업은행은 지난해 4월 출시한 'KDB 탄소스프레드'에 정부 보전금을 확보했다고 6일 밝혔다.

환경부는 올해 신설한 '녹색정책금융 활성화 이차보전 사업'을 통해 'KDB 탄소스프레드'에 우대금리의 절반을 보전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산업은행은 이달부터 금리우대 수준을 기존 대비 2배로 상향조정하게 된다.

산업은행은 최고 2.6%의 금리우대가 가능하게 된 'KDB 탄소스프레드'를 한국형 녹색분류체계(K-Taxonomy)에 기반해 운영기법을 고도화한다는 계획이다.

산업은행 관계자는 "온실가스 감축 투자여력이 부족한 중소·중견기업 뿐 아니라 K-Taxonomy에 부합하는 시설투자에 대해서도 금리우대 폭을 확대하도록 인센티브 체계를 손질해 정부의 '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과의 일관성을 향상시켰다"고 말했다.

이어 "K-Taxonomy의 선제적인 도입은 상품운영 과정에서 '그린워싱'을 방지하고 K-Taxonomy에 대한 산업계의 이해도 증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탄소감축 자금과 저탄소생태계 자금으로 나눠 운용하는 'KDB 탄소스프레드'는 지난해 4월 출시 이후 지난해말까지 30개 기업에 총 1조9000억원의 지원실적을 거뒀다.

외부전문기관의 사전검증 결과 탄소감축 자금을 지원받은 사업장들은 연간 약 114만t의 온실가스 감축효과가 예상됐으며 저탄소생태계 자금은 풍력발전용 해저케이블 생산공장, 폐기물 자원화 시설, 수소액화플랜트 건설 등 저탄소산업 육성을 위한 다양한 시설투자를 이끌었다.

산업은행 관계자는 "KDB 탄소스프레드에 대한 환경부의 이차보전 지원은 정부재정과 정책금융이 연계해 우리나라의 2050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한 마중물 역할을 수행한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친환경 연료전환, 폐열 회수, 공정개선, 고효율기기 도입 등 온실가스 감축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광범위한 시설투자를 대상으로 금리우대 혜택이 크게 확대되는 만큼 온실가스 다배출업종의 많은 관심과 활용을 부탁드린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