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1분기에 100대 건설사 공사현장에서 14명이 사망하는 등 전국 공사현장에서 총 55명이 목숨을 잃은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국토교통부는 올해 1분기 건설현장에서 사망자가 발생한 시공능력평가 상위 100대 건설사와 관련 하도급사·발주청·지자체 명단을 공개했다.
국토안전관리원이 집계하는 CSI 통계를 통해 분석한 결과 올해 1분기 중 건설사고사망자는 총 55명이다. 이 중 100대 건설사 현장에서 발생한 사망자는 14명이었다.
사망사고가 발생한 100대 건설사는 7곳으로 관련 하도급사는 8개사다. 지난 1월11일 발생한 HDC현대산업개발 광주 아파트 붕괴사고에서 6명이 사망했고 현대건설의 2개 현장에서 각 1명씩 2명, 요진건설산업 현장에서 2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디엘이앤씨(DL E&C)와 한화건설, 계룡건설산업, 화성산업 등 4개사 현장에서 각각 1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사망사고와 관련된 하도급사는 △가현건설산업 △다올 이앤씨 △현대엘리베이터 △화광엘리베이터 △광혁건설 △원앤티에스 △새만금준설 △화성산업 등 8개사다.
1분기 중 공공공사에서 발생한 사망자는 11명이고 민간공사는 44명이다. 사망자가 발생한 공공공사의 발주청은 △군산지방해양수산청 △울주군청 △충청북도청주교육지원청등 11개 기관으로 각 1명씩 사망했다.
사망자가 가장 많이 발생한 인·허가 기관이 소속된 광역자치단체는 경기도로 화성시에서 4명의 사망자가 발생하는 등 총 12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국토부는 사망사고가 발생한 15개 대형건설사와 관련 하도급사에 대해서는 6월까지 특별점검을 실시할 계획이다.
한편 지난해 4분기에는 100대 건설사 가운데 14개 사, 관련 하도급사 16개사에서 총 사망자 17명이 발생한 바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4분기 이상 연속으로 사망사고가 발생했거나, 중대한 건설사고가 발생한 건설사의 경우 기간을 확대하고 추가 인력을 투입하는 집중 점검도 시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