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건설 수주와 착공·분양 실적 간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다. 민간 재건축을 중심으로 건설사들의 수주고는 크게 늘었지만 건자재 가격 상승과 금리 인상으로 착공과 분양 실적이 저조하다.
25일 EBN이 대한건설협회의 동향보고서(1~5월)를 분석한 결과 올해 국내 건설 수주액은 총 93조6161억원으로 전년대비 12.5% 증가했다. 민간 건축 공사 수주가 지난해보다 13% 늘어난 62조422억원으로 전체 증가분을 견인한 반면 공공 공사는 7% 줄어든 6조1332억원에 그쳤다.
민간 건축 부문에서는 재건축 수주의 증가세가 단연 돋보였다. 지난 5월까지 집계된 재건축 수주액은 지난해 동기 대비 2.1배(110%) 급증한 4조8615억원을 기록했다. 올 들어 재건축 수주는 매월 오름세를 이어가고 있다.
같은 기간 주택 수주도 9.4% 늘어난 23조9055억원을 기록했다. 새 정부의 재건축 규제 완화에 대한 기대감이 상반기동안 이어졌고 민간 중심 주택 공급 기조도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수주가 크게 늘었음에도 착공과 분양은 부진했다. 5개월 간 주택 착공실적은 전년대비 34.3% 줄었고 국내 건축 착공 면적은 전년대비 13.2% 감소한 4831만㎡로 집계됐다. 착공 감소세가 6개월째 계속된 가운데 특히 지난 5월 한달 간 착공 실적은 전년대비 41.8% 급감했다. 글로벌 인플레이션이 본격화되면서 착공 연기가 확산된 결과로 해석된다.
5개월간 분양가구도 20.1% 줄어든 9만6252세대로 나타났다. 수도권에서 11.5%, 지방은 27.2% 급감했다. 이는 최근 10년 평균치 보다 19% 낮은 수치다. 반면 인허가는 전년대비 11.9% 늘어 분양과 인허가의 흐름이 엇갈렸다.
한국부동산원 관계자는 "건설 원자재 비용 상승으로 최근 공사비가 크게 오르면서 건설사들이 인허가를 받은 상태에서 관망하면서 착공을 연기하고 있는 것이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일각에서는 최근 분양가 상한제가 완화된 데다 조정대상지역이 대거 해제되면서 하반기에는 착공이 늘고 분양 시장도 활성화 될 것이라는 장밋빛 전망도 나온다.
하지만 대다수 전문가들과 업계는 자재값 부담과 고금리 기조가 여전해 당분간 건설 경기 전망을 어둡게 보고 있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지금처럼 대출규제가 강화된 상황에서 금리가 오르면 부동산시장은 매매가 줄고 민간건설투자도 위축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이어 "서울·수도권과 세종시 등 세간의 관심지역들이 지난달 조정 해제 대상에서 배제된 만큼 금번 정부의 규제지역조정이 부동산 시장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은 한정적일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