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9년 대비 2022년 주요 디저트 전문점 매출액 증감 및 신규 가맹점 비중ⓒKB국민카드

KB국민카드는 최근 4년간 디저트 전문점의 신용카드, 체크카드 매출액 및 신규가맹점 비중을 분석한 결과 디저트 전문점의 매출액은 2019년 대비해 2020년 8%, 2021년 28%, 2022년 4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21일 밝혔다.

가맹점 수 1000개 이상을 보유한 디저트 업종 중 최근 4년간 매출액 증가율이 가장 높은 디저트 전문점은 떡/한과(66%, 이하 순증), 와플/파이(65%), 아이스크림/요거트(36%), 도너츠(29%), 케이크(7%) 순으로 나타났다.

2022년말 떡/한과 가맹점 수는 1만3000개 이상으로 디저트 업종 중 가맹점 수 비중이 44%로 가장 높았다. 뒤를 이어 아이스크림 가맹점이 약 6000여 개 수준으로 20% 비중을 차지했다. 떡/한과 가맹점의 최근 1년 동안(21년말 대비 22년) 가맹점 수는 2%, 최근 4년간(19년말 대비 22년말) 가맹점 수는 15% 증가하며, 지속 성장 중이다.

22년 디저트 전체의 연령대별 매출액 비중은 20대 25.0%, 30대 20.5%, 40대 22.7%, 50대 18.0%, 60대 이상13.8%로 2040 세대가 약 70%를 차지했다.

세부 업종 내 연령대별 매출액을 보면 떡/한과의 경우에는 20대 7.7%, 50대와 60대 이상 비중이 60.3% (각각 27.6%, 32.7%)로 여전히 장년층 이상이 선호하는 품목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 선호하는 디저트 세부업종을 보면, 22년 기준 20대~40대는 아이스크림(요거트 포함) 매출액 비중이 30%대 이상으로 높고, 50대~60대는 떡/한과의 매출액 비중이 39.5%, 61.2%로 타 업종 대비 높았다.

건당 이용금액이 가장 높은 디저트는 과일/허브티 2만200원, 떡/한과 1만5500원 순이며, 가장 낮은 간식은 츄러스 6500원, 아이스크림/요거트 7600원, 붕어빵 9500원 이었다.

가맹점 수 1천개 이하를 포함한 전체 디저트 전문점의 최근 4년간(19년 대비 22년) 매출액 증감을 보면 베이글(216%, 이하 순증), 떡/한과(66%), 와플/파이(65%), 쿠키(55%), 호두과자(52%), 츄러스(49%), 아이스크림/요거트(36%), 도너츠(29%), 과일/허브티(25%), 빙수(12%), 붕어빵(12%), 케이크(7%) 순으로 나타났다.

2019년 대비 2022년 3배(216% 순증) 이상 매출액이 증가한 베이글은 21년 대비 22년에도 2배 가량(86%) 증가해 디저트 업종 중 가장 높은 성장세를 보이며 최근 인기를 데이터로 입증했다.

베이글 전문점의 가맹점 수 증가율은(21년말 대비 22년 가맹점수) 48% 이며, 과일/허브티 34%, 츄러스 21% 등 높은 가맹점 수 증가율을 보이고 있어 디저트 창업 아이템으로 주목받고 있음을 확인했다.

분석 대상 중 유일하게 가맹점 수 100개 이하인 붕어빵 가맹점의 경우에는 전년 대비 가맹점 수 증가율 17%, 매출액은 증가율 18% 를 보이고 있어, 최근 떠오르는 디저트 종류에 포함됐다.

KB국민카드 데이터전략그룹 관계자는 "디저트 종류별 소비 트렌드 분석을 통해 떡과 한과의 괄목할만한 성장세를 재발견할 수 있었다"라며 "향후에도 세부 업종과 품목 분석을 통해 먹거리에 대한 새로운 트렌드를 소개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