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누계 전기차 수출 하이브리드보다 많아

전기차 인기 시들…일각 ‘하이브리드 대세’ 주장

“하이브리드는 결국 내연車…미래차 대안 아냐”

전기차 기술력이 미래 좌우…선제 투자 중요성↑

▶ [제공=기아]

올해 국내 완성차 순수전기차(BEV) 수출이 처음으로 하이브리드(HEV)를 역전했다. 1년도 안 돼 글로벌 전기차 수요가 하이브리드를 넘어섰다. 최근 모빌리티 시장은 하이브리드가 대세로 자리 잡을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됐지만 전동화 모델의 인기를 넘어서지 못한 것.

11일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에 따르면 올해 현대자동차·기아·KG모빌리티·르노코리아 4개 사의 1~10월 누계 친환경차 수출 대수는 59만8826대로 전년 대비 32.9% 늘었다.

이중 순수전기차는 28만1588대를 기록해 친환경차 수출 비중에서 47%를 차지했고, 하이브리드는 25만8179대(43.1%)에 머물러 1위 자리를 내줬다.

현재 친환경차는 ▲하이브리드(HEV) ▲순수전기차(BEV) ▲수소연료전지(FCEV) ▲플러그인하이브리드(PHEV) 네 종류로 분류된다. 플러그인하이브리드는 하이브리드보다 크고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탑재, 전기차와 하이브리드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 중간단계로 본다.

수소전지가 전체 친환경차 비중에서 1%가 안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친환경차 시장은 사실상 하이브리드와 전기차, 두 가지 선택지를 두고 결정하는 셈이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하이브리드 수요는 전기차 수요를 크게 웃돌았다. 2022년 같은 기간 친환경차 수출 비중에서 하이브리드(24만2694대)는 53.9%로, 전기차(16만9346대)를 16.3%포인트(p) 앞섰다.

현대차·기아 양사가 전기차 수출 비중 증가를 견인했다. 올해 1~10월 현대차·기아의 전기차 수출 대수는 각각 14만1402대, 13만8126대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69%, 62.5% 늘었다. 반면 양사의 하이브리드는 같은 기간 각각 14.9%, 23% 증가하는 데 그쳤다. 수출 대수와 증가 추세 모두 전기차가 하이브리드를 앞지른 것.

올해 전기차 수요가 둔화하고 있다는 통계가 쏟아지면서 향후 미래차 전환 방향성에 대한 의구심이 제기됐다.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1~10월 글로벌 전기차 판매 대수(BEV+PHEV)는 1099만5000대로 전년 동기 대비 36.4% 늘었다. 다만 지난 2021년과 같은 폭발적인 증가세(전년 동기 대비 109% 증가)를 보여주지 못한다는 지적이 2년 연속 나오면서, 전동화 전환의 한계를 지적하는 여론이 높아졌다.

특히 하이브리드의 대명사 토요타의 글로벌 판매량이 급속도로 증가하며 ‘하이브리드 대세론’이 급격히 떠올랐다. 토요타는 올해 1~10월 누계 판매 약 846만대를 기록, 올해도 글로벌 제조사 유일 연 1000만대 이상 판매가 확실시되고 있다. 토요타 전체 차량에서 하이브리드 판매 비중은 약 34%에 달한다.

토요다 아키오 토요타 회장은 지난 10월 열린 재팬 모빌리티쇼에서 “탄소 배출을 줄이는 데 단 하나의 해답(전기차)만 있는 것은 아니라는 걸 사람들이 알게 됐다”고 말한 바 있다.

전문가들은 높은 전기차 가격, 충전 인프라 부족 등 문제로 하이브리드가 잠시 인기를 얻을 뿐, 미래차 대안은 될 수 없다고 지적한다. 하이브리드는 내연기관의 연장선으로 궁극적 친환경차가 될 수 없다는 설명이다.

하이브리드 구동력의 원천은 기름이다. 내연기관이 기름을 태워 바퀴를 회전하면, 발전기가 가동하면서 전기를 충전한다. 결국 탄소배출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시스템인 것.

이미 2035년 내연기관 판매 금지를 선언한 유럽연합(EU)은 내연기관 범주에 하이브리드 뿐만 아니라 플러그인하이브리드까지 포함했다.

전문가들은 현재 미래 친환경차 대세는 전기차임이 분명하다며, 전기차 관련 투자 및 전환 노력을 막힘없이 이어가야 한다고 조언한다. 이번 전기차 수요가 하이브리드 수요를 넘었다는 통계가 확인됨에 따라 하이브리드 대세론는 다소 힘을 잃을 것으로 보인다.

이항구 자동차융합기술원장은 “어설픈 정보는 자동차 정비 및 부품 생산자들에게 혼란을 준다”면서 “전기차가 대안이 되지 못할 것이란 기대감은 미래차 전환을 위한 교육이나 정부 사업을 포기하는 이가 늘어나게 만든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