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 경영활동 성과 담은 ‘2023 ESG 통합보고서’ 공개

▶ [출처=네이버]

네이버는 ‘2023 ESG 통합보고서’를 통해 ‘ESG 7대 전략’을 제시했다.

25일 네이버는 ESG 경영활동 성과를 담은 ‘2023 ESG 통합보고서’와 기후변화 대응 전략을 담은 TCFD보고서를 공개했다.

네이버가 제시한 7개 전략은 △팀네이버 기술 기반 ESG 영향력 확대 △정보보호 강화 및 안전한 인터넷 생태계 조성 △파트너 상생 및 지역사회 기여 △2040 카본 네거티브 달성 및 친환경 활동 확대 △구성원 성장 및 인권 존중 △지배구조 투명성 유지 및 선진화 △윤리경영 및 리스크 관리 강화다.

네이버가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총 1만6809tCO2e 분량의 온실가스 배출을 절감했다. 이 중 재생에너지 사용(6678MWh) 및 전자문서 등을 통해 절감한 온실가스 배출량은 총 4537tCO2e 분량이다. 특히 2023년부터는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범위를 계열법인까지 확대해 공개하고 있다.

네이버는 올해 각 세종까지 LEED Platinum 등급을 획득하며, 사옥, IDC 등 모든 건축물들이 세계 최고 수준의 ‘친환경’ 인증을 받게 됐으며, 앞으로도 다양한 기관 및 스타트업들과 협력하며 PPA 재생에너지 도입을 확대하는 등 친환경 경영 체계 고도화에 주력할 계획이다.

특히, 네이버는 책임감 있는 AI개발과 사용 확산을 위해 ‘AI 윤리 및 안전성 실천체계(AI Safety Framework)’를 수립하고 활동 성과를 공개했으며, 이외에도 접근성, 그린인터넷 등 기술 기반의 사용자향 ESG 가치 강화 활동도 이어가고 있다. 네이버는 AI 외에도 사이버보안 및 개인정보보호 강화 등 선도적인 기술 기반의 ESG경영 노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가겠다는 방침이다.

SME 및 창작자 역량 증진을 위한 상생 캠페인 ‘프로젝트 꽃’ 역시 규모가 지속적으로 커져가고 있다. 커넥트재단을 통한 교육 지원, 해피빈을 통한 기부 및 펀딩 등까지 고려하면, 네이버는 지난해 총 1063.3억 원(2022년 988.3억원) 규모의 사회적 기여 성과를 창출했다. 이외에도 올해 보고서에서는 파트너사들을 대상으로 하는 ESG경영 지원 현황 등에 대해서도 상세히 공개했다. 한편, 네이버는 지난해 동반성장지수 평가에서 인터넷 플랫폼 기업 중 유일하게 7년 연속 최우수 등급을 획득한 바 있다.

네이버는 지배구조 부문에서도 건전하고 투명한 지배구조 확립을 위한 노력을 지속해 나가는 한편, 다양한 서비스에 걸쳐 친환경 가치 제공을 위한 노력을 이어가고, 개인정보보호 강화, 인권경영 고도화 및 SME들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프로그램 역시 고도화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네이버는 지속가능성과 관련된 경영현황 및 성과를 투명하게 공개하며, 국내·외 다양한 ESG 평가기관으로부터 우수함을 인정받고 있다. 2023년 글로벌 대표 ESG 평가기관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과 서스테이널리틱스(Sustainalytics)는 네이버에 대해 각각 ‘AA’ 등급과 ‘Industry Top Rated’로 평가했다. 또, 한국ESG기준원으로부터 지난해보다 한 단계 상승한 A등급+을 획득했고, 서스틴베스트도 상반기 기업 ESG 성과평가에서 네이버를 1위로 선정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