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폴리에틸렌(PE) 현미경 사진ⓒ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은 전국 시도 보건환경연구원 최초로 대기 중 미세플라스틱을 분석한 결과를 13일 발표했다.

연구원은 지난해 9월부터 올해 2월까지 서초구 양재동 연구원 옥상에 미세먼지 채취 장치를 설치한 뒤 강우 기간을 제외한 맑은 날 월 1회(24시간) 시료를 포집했다.

이후 유기물 제거·여과 과정을 통해 전처리한 후 라만 분광법을 적용한 분광기를 활용, 머리카락의 10분의 1 크기의 미세플라스틱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5㎛(마이크로미터·100만분의 1m) 이상의 미세플라스틱 평균 개수는 대기 1㎥당 71개였다. 12월 미세플라스틱 평균 개수는 122개로 연중 가장 많았다.

종류별로 PE·폴리스타이렌(PS)·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폴리프로필렌(PP)·폴리우레탄(PU)·폴리염화비닐(PVC)·폴리아마이드(PA)·아크릴 등 8종이 확인됐다.

이 중 포장재·플라스틱 용기 등에 사용되는 PE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식품 용기·컵 등에 사용되는 PS가 뒤를 이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