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물가와 배달비 인상 등의 여파로 위기에 내몰린 자영업 소상공인들이 가게 문을 닫고 있다.
지난달 28일 유통업계 등에 따르면 국내 치킨전문점 수는 지난 2022년 4만1436개로 지난 2020년보다 1307개 감소했다.
연도별 국내 치킨전문점 수는 2019년 3만508개에서 2020년 4만2743개로 늘었지만 이후 2021년 4만2624개, 2022년 4만1436개로 감소세를 보였다. 치킨 브랜드 수는 2020년 477개에서 2021년 701개로 급증했다가 2022년 683개, 지난해 669개로 2년 연속 감소했다.
1일 서울시 상권 분석 서비스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서울지역 패스트푸드 프랜차이즈 점포는 2491곳으로, 전년 동기(2645곳) 대비 5.82% 감소했다.
일반 식당과 프랜차이즈 식당을 합친 전체 패스트푸드 식당 감소율(3.65%)보다 더 가파른 추세다. 고물가 장기화 속 배달 수수료까지 오르자 경영난에 직면한 음식점들의 폐업이 더 가속화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국내 최대 배달 플랫폼 배달의민족은 지난달 9일 중개 수수료를 기존 6.8%에서 9.8%로 3%포인트 인상했다. 배민은 중개 수수료를 올리는 대신 최대 3300원이던 업주 부담 배달비를 2900원으로 내리기로 했지만, 외식업주들은 ‘남는 게 없다’며 반발하고 있다. 배달비 인하보다 중개 수수료율 인상 폭이 더 커 업주가 부담해야 하는 비용이 늘어난 탓이다.
배달 매출 비중이 높은 저가형 프랜차이즈들이 받는 부담은 더 큰 상황이다.
‘착한 가격’을 내세운 햄버거 프랜차이즈 프랭크버거는 같은 기간 30곳이 폐업해 전년(13곳)에 비해 130.77% 늘었다.
배달료 인상은 음식 가격 인상으로도 이어지고 있다. 호식이두마리치킨은 지난달 28일부터 배달앱에서 주문하는 두 마리 세트 가격을 2만3000원에서 2만5000원으로 8.6% 인상했다.
올해 KFC, 파파이스 등은 배달앱 수수료 부담에 따라 배달 메뉴는 매장보다 가격을 더 비싸게 받는 이중 가격제를 도입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