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이 세계 3대 채권지수인 세계국채지수(WGBI) 편입에 성공했다.
채권시장에 80조원대 자금이 유입돼 국채 발행 여력이 늘고 조달 비용 감소 효과로 재정 정책 운용에도 숨통이 트일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9일 주요 외신에 따르면 글로벌 지수 제공업체인 영국 파이낸셜타임스 스톡 익스체인지(FTSE) 러셀은 '24년 10월 FTSE 채권시장 국가분류'에서 한국을 WGBI에 편입할 계획이다.
WGBI는 26개 주요국 국채가 편입된 선진채권지수로, 전 세계 기관투자자들이 추종하는 채권지수다.
한국은 지난 2022년 9월 관찰대상국 지위에 오른 이후 4수 만에 WGBI 편입에 성공했다.
FTSE 러셀은 시장 규모, 국가신용등급, 시장 접근성 수준을 고려해 통상 3월과 9월 WGBI 편입 여부를 정기적으로 결정한다.
그동안 시장접근성 수준이 레벨1로 편입 요건에 미치지 못했던 한국은 이번에 레벨2 기준을 충족했다.
WGBI 편입이 재정 운용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WGBI에서 한국이 차지하는 비중이 2.2% 정도로 추정되는 점을 감안하면 70조원의 자금이 유입될 것으로 기대된다. 많게는 90조원 이상을 전망하는 시각도 있다.
대규모 자금 유입으로 금리가 낮아지면 정부는 조달비용을 줄일 수 있다.
기획재정부는 "WGBI 편입으로 금리가 안정됨에 따라 정부와 기업의 자금조달 비용이 줄어들고 외환시장 유동성도 증가할 것"이라며 "국채 수요기반이 확충되면서 안정적인 중장기 재정운용이 가능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FTSE 러셀은 이전 편입 확정발표 후 1년 뒤인 내년 11월부터 실제 지수반영을 시작해 1년 동안 분기별로 단계적으로 편입 비중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