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원 질의에 답변하는 노동진 수산업협동조합중앙회 회장. 14일 오전 열린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의 수산업협동조합중앙회, 해양환경공단,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등의 국정감사에 출석한 노동진 수산업협동조합중앙회 회장이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제공=연합]
의원 질의에 답변하는 노동진 수산업협동조합중앙회 회장. 14일 오전 열린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의 수산업협동조합중앙회, 해양환경공단,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등의 국정감사에 출석한 노동진 수산업협동조합중앙회 회장이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제공=연합]

수협중앙회와 수협은행이 국회 국정감사 도마에 올랐다. 노동진 수협중앙회장은 회사 경영난 속에서도 자신의 연봉을 올렸고 수협중앙회와 자회사 포함 여성임원은 '제로'인 것으로 나타났다. 오랫동안 금융권에서는 수협과 같은 상호금융업권의 본연의 역할이 퇴색됐다는 지적이 제기돼왔다. 조합원의 경제적·사회적 지위 향상과 지역경제 발전에 신경쓰기보다 보여주기식 '외형성장'에 치중하고 '시중은행' 따라하기에 머문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14일 국회에서 열린 농림축산식품해양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국민의힘 김선교 의원은 "수협이 전사적 비상 경영체제를 발족했는데 비상 상황에서 회장 본인의 연봉을 올리는 결정을 했다"고 말했다.

올해 수협중앙회장 연봉은 2억8000만원으로 지난해보다 5000만원(22%) 올랐다. 올해 연봉은 4년 전인 2019년의 2배에 달한다. 김 의원은 수협에 대해 부채 비율이 지난 8월 현재 787%로 높고 지역수협 평균 연체율은 지난달 6.8%로 급등한 점을 언급했다.

수협중앙회 홈페이지
수협중앙회 홈페이지

그는 "수협이 적자 규모가 1000억원 넘어 경영 상황이 악화했는데 왜 연봉을 올렸나"라고 질타했다.

노 회장은 연봉 인상 결정 이유를 설명하지는 않았다. 그러면서 "이유를 막론하고 어려운 시기에 (연봉을 올려) 대단히 죄송하게 생각한다"고 답했다. 이에 대해 금융당국은 수협이 상호금융이라는 관계형금융 본질에 어긋난다고 보고 있다.

당국 측은"상호금융업권은 본연의 역할인 관계형금융을 보다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해 조합원의 경제적·사회적 지위 향상과 지역경제 발전을 이끌어야 한다"고 상호금융 설립 취지를 말했다. 

심지어 수협은 자산 건전성도 나빠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날 국정감사에서 더불어민주당 임호선 의원도 수협의 고정이하여신이 급증하고 대출 연체 비율이 뛰고 있는 점을 우려했다.

임 의원은 "단위조합의 적자는 더 심각하다"면서 "적자 조합이 2021년에는 3개였는데 올해 8월 63개로 정상적으로 돌아가는 조합이 거의 없다"고 말했다.

같은 당의 이원택 의원도 지역수협의 부동산 대출 연체율이 지난 6월 기준 7.38%로 시중은행의 24배에 이른다면서 부실채권을 감축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런 상황에서 수협중앙회 임원 가운데 여성이 한 명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협동조합의 유리천장(여성의 고위직 승진을 막는 보이지 않는 장벽)이 여전히 견고한 것으로 조사된 것이다. 자회사까지 포함하더라도 여성 임원은 다음 달이면 '제로'(0)가 된다는 지적이 나왔다.

더불어민주당 이병진 의원은 수협법 129조에 따른 수협중앙회 임원 수는 25명인데 이 중 여성 임원은 0명이라고 밝혔다. 이어 "강신숙 수협은행장이 여성이었는데 임기가 다음 달이면 끝난다. 그러면 수협은 중앙회와 자회사 포함해 여성 임원이 한 명도 없게 된다"고 말했다. 수협 중앙회와 자회사의 임원 수를 합하면 30명이 넘는다.

이 의원은 수협중앙회 직원 1421명 중 임원 포함 '별급'에 여성이 한 명도 없으며 '1급' 중 여성 비율도 12.8%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또 수협은행도 직원의 거의 절반이 여성이지만 1급 이상 여성 비중은 15%밖에 안 된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수협이 여성에게 "기울어진 운동장"이라면서 여성 임원 등을 늘리라고 요구했다. 이에 노동진 수협중앙회장은 "(여성이라도) 능력만 있으면 꼭 등용하겠다"고 답했다. 

국정감사장[제공=연합]
국정감사장[제공=연합]

이에 금융당국은 “전 세계적으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이 중요해지고 있으며 한국에서도 중요 화두로 부상하면서 여성 직원과 함께 여성 임원은 당분간 지속 증가할 것으로 풀이된다”며 “수협은 임신, 출산 등으로 인한 경력단절 문제에 대해 적극적인 조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이런 상황에서 수협중앙회의 미래 성장 방향성도 보이지 않고 있다는 점도 문제로 지적됐다. 노 수협중앙회장은 건전성을 고려해 금융지주 설립을 보류했다고 설명했다. 이날 국민의힘 이만희 의원의 금융지주 설립 관련 질문에 "(금융지주 설립이) 필요하고 작년에 준비를 시작했지만, 여러 경제적 상황을 고려해 보류하고 있다"면서 "검토는 계속하고 있다"고 답했다.

김기성 수협중앙회 대표이사도 "은행업 금융지주화, 사업다각화를 검토하고 있고 저희도 필요하다고 인정하지만, 은행과 중앙회의 자본 여건상 보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보류 배경은 자산 건전성이 나빠진 탓으로 보인다. 수협 부채 비율은 지난 8월 기준 787%까지 올라갔고 지역수협 평균 연체율은 지난달 기준 6.8%로 급등했다.

수협중앙회는 금융지주를 설립하고 증권, 캐피탈 등 비은행 금융회사를 금융지주 자회사로 편입해 사업다각화를 완성한다는 계획을 2022년 11월 발표한 바 있다.

김현태 해양수산부 수산정책실장은 수협 금융지주 설립에 대해 "필요하다고 생각하지만 재정 건전성을 어느 정도 개선한 다음에 하는 것이 맞다"고 밝혔다.

강신숙 수협은행장은 "수협은행이 작년에 M&A(인수합병)를 하려고 했으나 건전성이 더 중요하다고 해서 보류했다"면서 "인수 대상은 계속 탐색 중"이라고 말했다.

이날 국감에서 더불어민주당 임미애 의원은 수협의 '영업점장 특인대출' 관행을 질타했다. 수협의 특인대출은 심사 기준을 충족하지 못해도 영업점장이 판단해 승인할 수 있어 부실이 발생하는 사례가 잇따랐다. 김 대표이사는 "특인대출을 정리하겠다"고 답했다.

노 회장도 국감 마무리 발언에서 "중앙회가 관여할 길이 있다면 관여해 특인대출을 철저히 막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