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KT노조 간부진 300여명이 16일 오후 광화문 KT 사옥에서 '현장 인력 구조 혁신 방안'에 반대하는 집회를 열고 있다. [제공=EBN]
전국 KT노조 간부진 300여명이 16일 오후 광화문 KT 사옥에서 '현장 인력 구조 혁신 방안'에 반대하는 집회를 열고 있다. [제공=EBN]

통신 네트워크 운용·관리 자회사 설립과 인력 재배치 추진을 놓고 노조와 갈등을 빚은 KT가 제1노동조합과 합의에 나선 것으로 전해졌다.

전출자의 지원금 상향, 복지혜택 유지 등 전출 조건을 수정하는 방향으로 노사협의가 이뤄졌다. 노조의 반발에 부딪혔던 KT가 전출 조건을 상향·수용하는데 합의, 빠른 봉합에 나선 모양새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KT는 KT노동조합(제1노조)과의 협의 끝에 근속 10년 이상 자회사 전출자에게 KT에서 받던 기본급의 70%, 전직 지원금 20% 지급 계획을 전직 지원금 30%로 상향하는 조건에 합의했다. 

또 자회사 전출자가 받는 복지 혜택을 KT 본사와 유사한 조건으로 유지하는 안과 촉탁직 직원 근무를 기존 2년에서 3년 보장하는 방안도 들어줬다. 여기에 전출 또는 희망퇴직 목표치를 당초 4000명대에서 삭제하기로 하고 특별희망퇴직금도 당초 계획 규모에서 직원당 최대 1억원을 추가 지급키로 했다.

앞서 KT는 지난 15일 이사회를 열고 자회사 KT OSP와 KT P&M(가칭)을 설립하는 안건을 의결한 바 있다. 노사 합의를 거쳐 내년 1월 1일 자로 법인 설립 등기를 마칠 예정이다.

대상은 통신 선로 설계·시공, 유지보수 등 업무와 도서 지역 무선통신 등 기간통신망 분야를 담당하는 현장 인력이 여기에 해당된다. 미래 먹거리인 인공지능(AI)에 주력코자 전체 직원 3분의 1 수준의 5700명에 달하는 대규모 구조조정으로, 자회사 재배치를 원하지 않는 직원을 대상으론 특별 희망퇴직이 시행될 예정이었다.

이에 노조는 이번 구조조정이 통신 산업의 핵심 인력을 신설 자회사로 전출시키는 계획이라며 철회를 요구하고 나선 반면, KT는 'AICT' 회사로의 전환을 위한 조치라는 점을 고수하며 대립을 낳았다.

이 과정에서 제1노조인 KT노동조합과 소수노조인 KT새노조는 전일(16일) 일방적 구조조정 반대를 위한 집단행동에 나서며 반발했고, 밤샘 협의 끝에 KT가 KT노동조합과 합의를 진행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에 KT 관계자는 "아직 완전히 합의가 이뤄진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한편 KT 새노조 측은 제1노조와의 합의안을 두고 "KT새노조를 비롯한 직원들과 노동계가 강력하게 반발했고, 민주당 등 국회에서도 반드시 폐기해야 한다고 경고했던 구조조정 계획이 결국 노사합의라는 명분으로 통과 된 것"이라고 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