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공=연합]](https://cdn.ebn.co.kr/news/photo/202410/1640691_651520_3333.jpg)
미국 대통령 선거가 2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국내 기업들은 각 후보가 내놓은 경제 정책 공약 중 '관세 공약'에 관심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지난 2∼11일 전국 제조기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미국 대선 관련 정책 이슈와 우리 기업의 과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기업들은 가장 주목되는 해리스 후보의 공약(복수응답)으로 '전략적 표적관세 추진'(17.4%), '동맹국 중심의 다자간 통상확대'(17.3%), '법인세 인상'(13.0%), '대중 디리스킹 정책'(11.9%), '친환경·탈탄소 정책'(10.2%) 등을 꼽았다.
도널드 트럼프 후보의 공약 중에서는 '보편·상호적 관세 확대'(25.6%), '미국 무역적자 해소를 위한 통상전략 추진'(18.5%), '미국 내 투자한 외국기업 혜택 축소'(13.9%), '대중 디커플링 정책'(12.7%), '법인세 인하'(8.2%) 등에 관심을 보였다.
또 향후 무역 환경과 관련해 '관세장벽 등 보호무역주의가 강화될 것'(64.7%)이라는 응답이 '국제협력으로 글로벌 시장이 확대될 것'(35.3%)이라는 답변보다 많았다.
실제로 최근 글로벌 보호무역주의는 심화하는 추세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전 세계에서 한국을 대상으로 한 수입 규제 조치는 214건으로 지난해 동기(201건) 대비 13건 증가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중동분쟁, 북핵 등 글로벌 지정학적 리스크에 대해서는 '고조될 것'(58.0%)으로 보는 기업이 '감소할 것'(42.0%)으로 보는 기업보다 많았다.
또 글로벌 금리 인하 기조에 대해 '원/달러 환율에 영향을 미쳐 수출 경쟁력 악화'(60.3%)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글로벌 유동성 확대로 이어질 것'(39.7%)이라는 기대보다 높았다.
![[제공=대한상공회의소]](https://cdn.ebn.co.kr/news/photo/202410/1640691_651521_3458.png)
다만 미국 대선 결과에 따라 투자전략이나 경영방침이 변화될 가능성에 대해서는 '개편할 여력이 없다'(33.7%)거나 '개편할 필요를 느끼지 못한다'(28.0%) 순으로 답했다. '전면 개편 가능하다'는 응답은 2.0%에 그쳤다.
국제정세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정부의 지원 과제로는 '경제안보 강화를 통한 지정학적 리스크 완화'(42.0%)를 요구하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강석구 대한상의 조사본부장은 "미국 대선은 글로벌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는 정치 이벤트로 결과에 따라 글로벌 수출 및 공급망 환경, 개별 산업, 신산업 및 에너지 정책 등에 적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다"며 "정부와 기업이 협력해 다양한 시나리오에 대비하고 국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