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공=현대자동차]
[제공=현대자동차]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이 인도 시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러면서 현대차 인도법인(HMIL)의 상장을 통해 현지 시장에 더 좋은 제품 생산·판매를 통해 소비자들에게 가까이 다가서겠다고 설명했다.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이 22일(현지시간) 인도 뭄바이 증권거래소(NSE)에서 열린 현대차 인도법인 상장 기념식 직후 한국 기자들과 만나 "1996년에 인도에 처음 들어와서 여기 공장에서 생산 판매하기 시작했는데 의미가 크다"며 "인도 시장은 가능성이 무궁무진하다"며 이 같이 밝혔다. 

현대차는 인도 뭄바이의 인도증권거래소(NSE)에서 정의선 회장 등 현대차 경영진이 참석한 가운데, 인도법인의 현지 증시 상장 기념식을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정의선 회장과 장재훈 현대차 사장, 김언수 인도아중동대권역 부사장, 타룬 가르그 인도권역 최고운영책임자(COO)가 참석했으며, 인도증권거래소 관계자 및 글로벌 미디어 등 250여명이 자리를 함께했다.

HMIL은 인도 증권시장에 데뷔, 4조5000억원을 조달해 사상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종전 최고기록은 지난 2022년 인도 생명보험공사가 조달한 25억달러(3조4000억원)다.

정 회장은 "인도 시장 내수도 크지만 수출도 많이 하기 때문에 해외 시장 개척 및 IT 기술 등에서 협력할 수 있는 부분이 앞으로 많다고 생각한다"며 "상장을 통해 저희가 좀 더 글로벌 스탠다드에 맞는 기업으로 전진해야 된다는 사명감을 갖게됐다"고 말했다. 

정 회장은 이번 기업공개로 확보한 금액으로 인도 투자에 집중할 예정이며 사회적 책임 역시 강화하겠다고 언급했다. 

정 회장은 "푸네공장은 이미 저희가 새로 내년, 후년에 오픈할 계획이 있기 때문에 그 정도 수준에서 진행을 할 것"이라며 "인도 내에 훌륭한 인재를 길러낼 수 있는 교육, 기술 교육 이런 부분에 좀 많이 투자가 될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 문제는 6~7년내 해소될 것으로 내다봤다. 

정 회장은 "6년에서 한 7년 정도 사이면 전기차 캐즘 문제는 점진적으로 해소되지 않을까 생각된다"며 "그리고 인도 시장에서도 정부가 정책적으로 전기차 중요성을 굉장히 강조하고 있기 때문에 기술과 코스트만 맞춰진다면 전기차 시장으로 빨리 변하는 것은 시간 문제"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모디 총리와 나눈 대화와 관련해서는 "IPO를 통해서 생긴 자원으로 더 많은 투자를 하게 될 것이라는 말씀을 드렸다"며 "정부에서도 관심 있게 보고 계시고 또 지원을 해 주실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했다. 

이어 "또 인도에 훌륭한 기업이 많으며 저는 평소에 타타(TATA)를 존경해 왔다"며 "이번에 라탄 타타 회장께서 돌아가셔서 참 안타까움에 대해서 말씀을 드렸고, 저희도 여기서 잘해서 타타 같은 좋은 기업이 되고 싶다고 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