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LG유플러스]
[출처=LG유플러스]

LG유플러스는 6G 이동통신 서비스 발전을 전망한 ‘6G 백서-비지상 네트워크’를 발간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백서는 지난해 발간한 6G 비전 백서에서 △지속가능성 △지능화 △확장성 등 핵심 비전을 구체화한 후속판이며, 비지상 네트워크를 주제로 작성됐다.

비지상 네트워크는 지상에 설치된 기지국뿐만 아니라 통신 위성, 무인 항공기를 이용한 고고도 플랫폼 무선국(HAPS) 등 공중 및 우주 인프라를 활용하는 새로운 개념의 네트워크다. 이 네트워크는 기존 5G가 제공하는 고속 데이터 통신과 저지연성이 지상에서 벗어나 공중 및 우주 영역까지 확장되는 핵심 기술로, 지상-공중-우주를 아우르는 3차원 통신 시대의 전환점을 마련할 전망이다.

LG유플러스는 이번 백서를 통해 비지상 네트워크의 기술적 발전 방향, 국제 표준화 기구 3GPP의 비지상 네트워크 표준화 현황, 다양한 서비스 시나리오를 소개했다.

이를 통해 비지상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통신 위성인 △저궤도 위성(LEO) △중궤도 위성(MEO) △정지궤도 위성(GEO) 등의 활용 방안을 제시했다.

특히, 재사용 발사체 기술의 발전은 위성망 구축 비용을 절감하고, 경제적인 방식으로 글로벌 통신망을 구축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또 ‘위성 간 통신’ 기술을 통해 통신 지연 시간을 최소화하고 초고속 전송이 가능해지는 등 위성 통신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는 점도 짚었다.

무엇보다 비지상 네트워크가 상용화되면 도심항공교통(UAM), 무인항공기(UAV) 등 새로운 서비스의 고도와 거리의 통신 범위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이를 통해 공중 및 우주를 활용한 다차원적인 통신 서비스가 가능해지며, 실시간 연결성을 요구하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혁신적인 서비스 구현이 기대된다.

LG유플러스는 비지상 네트워크와 같은 차세대 이동통신 기술의 개념 검증 및 기술 개발에 집중하는 동시에, 국내 이동통신 기술 대표 협의체인 ‘6G 포럼’ 및 국제 사실 표준화 단체인 3GPP에서의 표준화 과정에도 참여할 계획이다.

최윤호 LG유플러스 CTO 미래기술/전략담당은 “비지상 네트워크는 6G 상용화 이후 고객의 삶을 혁신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핵심 기술이자 차세대 유스케이스가 될 것”이라며, “LG유플러스는 6G 기술 연구와 표준화 활동에 적극 참여해 고객에게 새로운 가치를 제공하는 6G 시대를 선도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6G 백서의 내용은 LG유플러스 공식 블로그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